본문 바로가기

▣新八道(신팔도)*紀行錄633

강원 철원ㅡ순담계곡ㅡ한탄강 주상절리 잔도 철원 순담계곡ㅡ한탄강 주상절리 잔도 강원도 철원에는 세계적인 수식어를 붙여 보는이의 웃음을 자아내는 여행지가 곧잘 있다.동양의 나이아가라라 불리는 ‘직탕 폭포’가 대표적인 예이다. 그 자체로 고고한 매력이 있는 폭포를 나이아가라라 명명한 탓에 쓴웃음이 나오기도 한다.최근 임시 개통으로 많은 사람들을 맞았던 ‘한탄강주상절리길’도 장가계의 잔도를 운운 하다보면 낭패를 볼 수 있다. 그냥 그 자체로 충분히 아름답다. ‘한탄강주상절리길’은 순담계곡에 새롭게 설치된 ‘잔도’다. 총 1㎞로 임시 개통이라 왕복 2㎞의 부담없는 산책 길이 됐다. 하지만 고소공포증이 있는 사람들에게 어느 정도 용기가 필요하다. 대개의 디딤판이 밑이 훤히 보여, 고소공포증이 심한 이들엔 자책길이 될 수 있으니…. 하지만 걷다보면 주변 경.. 2021. 9. 24.
전남 신안ㅡ산티아고 순례길은 스페인만 있는게 아니다ㅡ작은 산티아고. 전남 신안군 산티아고 순례길은 스페인만 있는게 아니다ㅡ작은 산티아고. ▲썰물 때면 노둣길이 드러나 서로 이어지는 전남 신안의 작은 섬, 대기점도와 소기점도, 소악도 등에 예수의 12사도 이름을 단 열두 개의 작은 예배당이 지어지고 있다. 사진은 대기점도 방파제 겸 선착장과 그 끝에 들어선 첫 번째 예배당 ‘베드로의 집’. 순백의 건물과 파란 지붕이 그리스 산토리니를 연상케 한다. 전남 신안에는 썰물 때만 드러나는 노둣길로 이어지는 작은 섬이 있습니다. 이름하여 ‘기점·소악도’입니다. 아무것도 볼 것 없는, 그래서 빈 도화지 같던 섬에는 오는 11월 초쯤 ‘기적의 순례길’이 완성됩니다. 하루 두 번 바다 위로 길이 드러나니 ‘기적’이고, 그 섬에 예수의 12사도 이름을 딴 작은 예배당 열두 곳을 지어 ‘순.. 2021. 9. 20.
전남 무안ㅡ화산 백련지마을ㅡ동양 최대 연꽃자생지 무안 화산 백련지 마을 일로읍 복용리ㅡ동양 최대 연꽃자생지 무안 화산 백련지 마을 ◈전남 무안군 일로읍 복용리 백련지에 연꽃이 처음 핀 것은 1955년의 일이다. 저수지 바로 옆 덕애부락에 살던 주민 정수동씨가 백련 12그루를 심은 것이 시작이다. 정씨가 백련을 심은 날 꿈을 꾸었는데 하늘에서 학 12마리가 내려와 앉아있는 모습을 보았다. 상서로운 징조라 여긴 정씨와 마을 주민들이 그 후 정성을 들여 연꽃을 가꿨고 50여 년이 지난 지금, 동양 최대의 연꽃자생지로 발전했다.백련지는 원래 이름 없는 농업용 저수지였다. 일제강점기에 만들어진 것으로 두 개의 저수지를 합치면서 ‘복용’이란 이름이 붙었다. 벼농사가 대부분이던 당시에 250ha의 논에 물을 대던 저수지는 반드시 필요한 젖줄이었다. 하지만 1981년 영산강 하구둑이 완공.. 2021. 9. 19.
제주도ㅡ관덕정(觀德亭.보물 제322호)ㅡ옛 제주 목사 관아 관덕정 보물 제322호ㅡ옛 제주 목사 관아 관덕정(觀德亭) ▲제주목 관아 관덕정, 문화재청은 제주 관덕정(觀德亭 보물 제322호) 보수공사를 27억원의 예산을 들여 2003년 12월에 착공한지 44개월 만에 모두 마치고, 2006.8월18일에 준공식을 거행하였다. 관덕정은 조선 세종 30년(1448)에 병사들을 훈련시키기 위해 훈련청 용도로 건립되었다. 정면 5간에 측면 4간 규모로 팔작지붕을 한 단층 목조 건물로서, 비바람이 세차게 들이치는 제주도의 지역적 특성을 고려하여 처마 길이를 매우 길게 내밀도록 만들어졌다. 조선 세종 30년(1448)에 안무사 신숙청이 처음 건립한 이후, 고종 19년(1882) 방어사 박선양이 여덟 번째로 수리하기까지, 이 건물은 군사 훈련 장소로서 제주도의 상징적인 건축물이었다. .. 2021. 9. 19.
경북 군위ㅡ해발 800m 산꼭대기서 만난 마을...양탄자 처럼 펼쳐진 구름위를 걸었다. 해발 800m 산꼭대기서 만난 마을 ...양탄자 처럼 펼쳐진 구름위를 걸었다. ▲경북 군위군 고로면 화북 4리 화산마을에서 본 풍경. 해발 800m의 화산마을에서는 군위 일대의 경관이 다 내려다보인다. 특히 요즘처럼 일교차가 심할 때는, 아침 시간에 맞춰 찾아가면 발아래로운해가 펼쳐진 모습을 볼 수 있다. 여행자들이 기억해야 하는 이름난 명소가 군위에는 없습니다. 하지만, 군위는 그래서 더 매력적이지요. 바꿔 말하자면 하나의 압도적인 이미지가 다른 것들을 다 빨아들이는 곳이 아니라는 얘기입니다. 군위의 명소는 맥락 없이 다양합니다. 하나의 명성이 다른 것들을 가리지 않습니다. 군위는 다 고만고만합니다. 경관도, 역사도, 인물도, 이야기도…. 단번에 눈을 확 휘어잡을 만한 건 없습니다. 하지만 찬찬히 듣고.. 2021. 9. 18.
서울 용산ㅡ한국 이슬람 서울 聖院(용산구 우사단로. 한남동) 한국 이슬람 서울 聖院(용산구 우사단로. 한남동) ▲서울중앙성원 (이태원 또는 한남동 이슬람사원) 1976년 5월 21일 서울 한남동에 설립된 한국 최초의 이슬람 성원이다. 1969년 박정희 대통령의 지시로 한국 정부가 약 5000m²의 부지를 기부하고, 사우디아라비아를 비롯한 이슬람 국가들이 성원 및 이슬람 센터 건립 비용을 전액 지원했다. 건물 1층에는 한국 이슬람교 중앙회(KMF, Korea Muslim Federation)의 사무실과 회의실, 2층에 남자 예배실, 3층에 여자 예배실이 각각 설치되어 있다. 부속 건물인 이슬람 센터는 본래 건물면적 1362m²의 2층 건물이었는데, 1990년 사우디아라비아 이슬람 개발은행으로부터 건축비를 지원받아 3층 건물로 증축했다. 이슬람 센터에는 무슬림 어린이.. 2021. 9. 18.
충남 보령ㅡ한국 천주교 순교 聖地ㅡ갈매못 성지(다섯 분의 성인과 5백여 명의 순교자가 치명한 곳) 갈매못 순교 성지(보령 오천면. 오천해안로) (다섯 분의 성인과 5백여 명의 순교자가 치명한 곳) ▲갈매못 성지 오천은 치안과 국방을 담당하던 수영(水營)이 있었고 수군 통제사가 있던 곳이다. 이곳 갈매못이 순교지가 된 이유중에 하나로 오천면에 속하는 외연도와의 관련성이다. 외연도(外烟島)는 황해에서 멀리 떨어져 있어서 붙여진 이름이다. 1846년 6월에 불란서 해군 제독인 세실 함장이 세척의 군함을 끌고 서울 한강으로 진입하려고 하였으나 한강을 못찾고 외연도에 정박하여 당시 임금이었던 헌종에게 1839년(기해박해)에 불란서 선교사 앵베르 범 주교님, 모방, 샤스땅 신부님 등 3명의 불란서 선교사를 살해한 책임을 묻는 편지만 상자에 남겨놓고 돌아간 적이 있다. 이와 같은 세실 함장의 조선 영해 침입사건을.. 2021. 9. 18.
서울 관악ㅡ한국 천주교 聖地ㅡ삼성산 순교자 성지(기해박해 때 새남터에서 순교한 세 명의 성직자가 안장되었던 곳) 삼성산 순교자 성지(관악구 신림동 호암로) (기해박해 때 새남터에서 순교한 세 명의 성직자가 안장되었던 곳) ▲2012.10.14일 서울대교구장 염수정(안드레아) 대주교가 축성한 표지석 한국 천주교회사상 처음으로 이 땅에 발을 디딘 외국인 성직자인 중국인 주문모 신부가 1801년 신유박해로 순교한 후 30년만인 1831년 조선의 천주교회는 중국 북경교에서 독립해 '조선 교구'로 설정된다. 이어서 1836년과 1837년 사이에 프랑스 선교사인 앵베르 주교와 모방. 샤스탕 신부가 입국함으로써 조선의 교우들은 주문모 신부 이후 한 세대가 훨씬 지나서야 목자에 대한 갈증을 풀게 된다. 이들 세 성직자는 상복(喪服)으로 얼굴을 가리고 각 지방에 흩어져 있는 교우들을 찾아 밤낮으로 험한 산길을 걸으며 복음 전파에 .. 2021. 9. 18.
서울 중랑ㅡ동양 최대 인공폭포인 용마폭포공원 & 중랑둘레길 동양 최대 인공폭포인 용마폭포공원 & 중랑둘레길 ▲ 용마폭포공원는 과거 폐채석장이 휴양 명소로 탈바꿈한 서울 동북권 명소다. 사진은 서울 중랑구 용마폭포공원 전경. 서울 중랑구 용마폭포공원은 과거 폐채석장이 휴양 명소로 탈바꿈한 서울 동북권 명소다.용마산과 아차산을 바라보고 있는 용마폭포공원은 코로나 시대 비대면 여행을 할 수 있는 가족동반 나들이 명소 가운데 하나이기도 하다. 지하철 7호선 용마산역(용마폭포공원)에 내려 진입로에 들어서면 시원한 나무그늘과 폭포수에서 불어오는 바람이 가슴을 시원하게 해준다. 진입로를 지나면 넓게 펼쳐진 용마폭포공원 광장과 폭포수를 만난다. 도심을 약간 벗어났을 뿐인데 시원한 풍광에 감탄이 절로 쏟아진다. 용마산(龍馬山·해발 348m) 중턱에서 쏟아지는 폭포수가 멋진 자태.. 2021. 9.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