루구호(瀘沽湖)ㅡ소수민족
아버지 없는 ‘女人國’ 모쒀족(摩梭族), 아이 낳으면 여자 집서 키워
▲모쒀족은 루구호(瀘沽湖) 일대에 모여 산다.
10여 년 넘게 중국 여행을 하다 보니 그 넓은 대륙에서 어디를 가면 가장 좋으냐는 질문을 종종 받는다. 나는 중국 여행
티켓이 단 한 장이라면 윈난을 먼저 가라고 답한다.
몸에 밴 도시의 편리함을 내려놓기는 쉽지 않기 때문에 편의성이 적당히 받쳐 주는 가깝고도 먼 오지를 추천하는 셈이다. 그 가운데 나만의 ‘샹그릴라로 가는 여정’이 있다.
루구호 일대 거주, 가모장제 지켜여자 집서 남녀관계 맺는 ‘주혼’창문 벽 타고 들어가 하룻밤 보내남자는 해뜨기 전 자기 집으로 가 남녀 가정 이루지 않고 교제만 할 뿐 어머니 남자 형제가 아버지 역할윈난의 관문 쿤밍에서 출발하여 토림, 루구호, 석두성, 리장 위룽설산과 하바설산, 샹그릴라대협곡, 메이리설산(6740m)에 이르는, 느긋한 일정으로 2주 정도 걸리는 코스를 여러 번 여행했었다.
토림(土林)은 억겁의 세월이 대지를 기묘하게 깎아 낸 각양각색의 흙기둥들이 즐비한 지질공원이다. 붉은 기운이 도는 밝은 황토색 흙기둥이 파란 하늘을 병풍처럼 두르고 있다. 정말 아름답다.토림 다음은 루구호(瀘沽湖)라는 고원의 호수다.
그곳으로 가는 산길부터가 매력적이다.
굽이굽이 끝도 없이 휘돌면서 고도를 높여 올라간다. 차를 세우고 돌아보면 땅덩어리가 이렇게나 클까 싶은 생각이 든다. 산 아래 계곡에 안긴 마을에서 밥 짓는 연기가 올라오기라도 하면 이곳이 샹그릴라가 아닐까 하는 몽상이 젖어 오기도
한다.
▲마니뚜에이(瑪尼堆, 마니퇴)입니다. 이곳은 티베트 불교의 영향을 많이 받아서 아직도 절 양식 등이 티베트 식입니다.
아침에 호수에 나가면 곳곳에서 이렇게 제단 안에 불을 피워놓고 이곳을 돌고는 합니다. 그러데 젊은 사람들은 없고
나이가 많이 드신 할머니들이 주로 돌곤 합니다.
▲루오수에이(落水, 락수)에서 호수를 보면 호수 가운데 두 개의 작은 섬이 나란히 보입니다.왼쪽에 있는 섬으로 가고 있는 중으로 이 섬은 서다오(蛇岛, 사도), 헤이와어다오(黑瓦俄岛, 흑와아도), 시에와어다오(谢娃俄岛, 사왜아도), 시와어다오(媳娃俄岛, 식왜아도) 등 여러 가지 이름으로 불리고 있습니다
▲호수의 맑고 푸른 물이 그대로 드러나죠? 사실 이 사진은 호수를 찍으려는 것이 아니라 배를 젓고 있는 아가씨를
찍으려던 것입니다.
▲리우비스(里务比寺, 리무비사) 전경
▲리우비스(里务比寺)에 있는 바이타(白塔, 백탑)입니다.
◆성적으로 문란할 거란 생각은 오해
▲중국 윈난성의 소수민족인 모쒀족의 여성들.
모쒀족 상당수는 여성이 대를 잇는 가모장제를 유지해 오고 있다.
[사진 유광석]
그렇게 온종일 차를 달려야 루구호에 도착한다. 수면이 해발 2685m, 수심은 평균 40m, 깊은 곳은 105m나 다. 3770m
거무신산(格姆神山)에 올라가면 루구호 전체를 시원하게 조망할 수 있다.
루구호 일주도로는 44㎞ 정도. 예쁜 카페에서 차 한잔 즐기고 물가에서 물수제비도 뜨면서 하루를 만끽할 수 있다.
호수
안쪽으로 뻗은 작은 반도의 끝에서 거무신산을 한눈에
볼 수 있다.
과연 신산이라 할 만하다. 여행객의 피로감이 차올라도 호수 위로 쏟아지는 별들이 잠을 막아서기도 한다. 늦잠에
뒤척이다가 아침 창밖으로 보이는 루구호의 물안개는 또 어떠한가. 잠에서 버쩍 깨어서는 곧바로 몽환에 빠지지만,
그 순간에는
샹그릴라라는 말이 떠오르기도 한다.
아침 국수라도 한 그릇 하고 호숫가를 둘러보면 아름다운 루구호에서 오래도록 살아온 모쒀(摩梭)족을 만나게 된다.
중국의 55개 소수민족 목록에는 없지만 그들의 신분증에는 엄연히 ‘모쒀인’이라고 명기돼 있다.
루구호 서남부의 윈난성 모쒀족은 나시족(納西·리장의 소수민족)으로, 루구호 동북부의 쓰촨성 모쒀족은 몽골족으로
분류된다. 모쒀족은 독자적인 민족으로 분류해 달라고 청원했으나 아직 받아들여지지 않고 있다.
▲중국 윈난성의 소수민족인 모쒀족의 여성들.
모쒀족 상당수는 여성이 대를 잇는 가모장제를 유지해 오고 있다. [사진 유광석]
모쒀족은 ‘여인국’이란 다소 자극적인 말로 널리 알려져 있다. 모쒀족 상당수는 모계-가모장제-대가족을이루어 살아왔다.
가문의 어른은 여자이고 여자에서 여자로 대를 잇는다.
아이를 낳으면 남편 없이여자가 키운다. 수천 년 동안 쌓여 온 가부장제의 편견으로는 이들의 습속과 문화를 이해하기
어렵다.
모쒀족에 대한 가장 큰 오해는 ‘주혼(走婚)이라는 혼인제도가 있다’는 것이다. 말 자체가 틀렸다.주혼은 여자 집에 상대
남자가 찾아와 밤을 같이 지내고, 해 뜨기 전에 자기 집으로 돌아가는모쒀족 특유의 남녀관계를 말한다.
주혼은 남녀의 교제이지 혼인이 아니다. 남녀가 동거하여 가정을 이루고 가족성원들이 권리와의무로 한데 묶이는
결혼이, 이들에게는 아예 없다는 것이다.
여자는 아이를 출산하면 자기 집에서 가족의 일원으로 키운다. 생물학적 아버지가 누군지 알지만,굳이 드러내지 않는다.
아이가 성장하면서 남자어른의 조력이 필요하지만 그것은 어머니의 남자형제가 수행한다.남녀관계는 우리와
다르지 않다. 시장이나 거리에서, 공동의 노동이나 이웃 간의 교류에서,마을 축제에서 자연스럽게 시작된다.
사전에 서로 약속해야만남자가 여자 집으로 찾아올 수 있다.여자의 방은 2층이고 남자는 그 창문 아래에서 미리 약속한
신호로 노크한다. 여자가 창문을 열어주면 벽을 타고 올라가는 게 보통이다.관계가 끝나는 것도 간단하다.
여자가 창문을 열어 주지 않거나, 남자의 물건 하나를 창밖에 걸어 둔다.남자가 여자의 집을 찾아가지 않아도 그것으로
그만이다.
여자는 남자에게 당당하게 다가가고,남자는 여자에게 당당하게 어필한다.가부장제 남자들은 섣부른 상상으로 ‘모쒀족
여자들은 성적으로 문란할 것’이라고 넘겨짚곤 한다.그러나 그렇지 않다.
남녀교제는 우리와 마찬가지로 오래가기도 하고 짧게 끊어지기도 한다.동시에 여러 상대와 교제하는 것은 품위 없다고
여기기 때문에 흔하지 않다. 남녀관계를 가족은 물론누구에게든 드러내지 않는다. 뜨겁지만 조용한 사생활로 다룬다.
어머니라 할지라도 성인 자녀들의 남녀관계에 간섭하지 않는다. 자녀가 성장하여 13세가 되면 성인의복을입혀 주며
성년식을 치른다. 딸은 어머니의 옷을, 아들은 외삼촌의 옷을 물려받는 게 보통이다.이날부터 딸들은 화방(花房)이라고
하는 자기만의 방을 따로 배정받는다.
◆성평등·페미니즘 살펴볼 소수민족
▲중국 윈난성의 소수민족인 모쒀족의 여성들.
모쒀족 상당수는 여성이 대를 잇는 가모장제를 유지해 오고 있다. [사진 유광석]
습속이 이러하니 남자가 여자에게 위해를 가하는 게 없다. 남자가 여자를 희롱해도 남자니까 무방하고, 여자니까
부끄러워해야 하는, 그런 젠더의 불평등이나 차별은 없다.
애초에 여자로 태어났으니 경시하고, 여자로 성장하니 억압당하는 일이 없다. 여자를 신체적으로 학대하는 할례나
전족은 물론 얼굴을 가리는 복장도 없고, 그와 유사한 습속도 없다.
성관계 한 번으로 여자를 올가미에 걸린 사냥감으로 취급하는 일이란 이들에게는 상상도 못 할 일이다.물론 남녀의
사회적인 역할 구분은 있다. 여자는 농사와 가사 등 가정 안팎의 일을 주도한다.
남자는 큰 힘을 쓰는 가사, 타지역을 오가거나 장사나 종교와 같은 대외적인 일을 맡고, 가족 안에서는 가모장, 곧
어머니나 누이를 충실하게 보좌한다.
나도 여러 차례 이 지역을 여행했고 관련 자료를 읽었지만 이들의 가족구성과 일상을 실감 나게 이해하기는 쉽지 않다.
그러나 이들의 여자남자 관계는 찬찬히 음미할 가치가 있다. 페미니즘을 이해하는 방편이 될 수 있고, 우리가 사는
공동체의 미래에 관한 영감을 얻을 수도 있다.
출처 / 중앙일보 / 윤태옥
'■동북 아시아****국가들 > ⊙중국****서남지방'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윈난성(云南省)ㅡ성벽이 없는 古城ㅡ리장고성(麗江古城)가는 길 (0) | 2022.01.06 |
---|---|
쓰촨성(四川省)ㅡ루구호(瀘沽湖)ㅡ女人國 루구호 다녀왔어요 (0) | 2022.01.06 |
쓰촨성(四川省)ㅡ아바장족.창족자치주ㅡ 주자이거우(九寨構) (0) | 2021.12.28 |
윈난성(云南省)ㅡ옥룡설산 앞에서 펼쳐지는 茶馬古道 대서사극 (0) | 2021.12.25 |
쓰촨성(四川省)ㅡ동티벳. 아바장족창족자치구ㅡ야생화 천국 쓰구냥산트레킹 (0) | 2021.12.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