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동유럽********국가들/⊙발칸반도*국가들

불가리아ㅡ소피아ㅡ불가리아 알렉산드르 네프스키성당

by 삼수갑산 2021. 10. 22.

소피아(Sofia)***불가리아 알렉산드르 네프스키성당 

▲알렉산드르 네프스키 성당

 

네오비잔틴 양식의 발칸반도 최대의 사원으로 사원 내부가 1,300㎡로서 5,000명 집회가 가능한 규모이다. 불가리아의 해방을 위해 터키와 싸운 러시아 병사에 대한 감사의 표시로 1882년 기공되어 1924년 완성됐다.

 

내부의 벽은 러시아, 불가리아 유명화가들이 그린 성화 로 가득하며 지하실에는 고대와 중세 불가리아의 유물, 성화를 전시하고 있다. 이 사원의 명칭은 러시아 황제 알렉산드리2세의 이름인 성인 알렉산드리 네프스키에서 유래한 데서 붙여진 이름이다.

 

▲원본출처 / naver 지식백과

 

▲알렉산드르 네프스키(Aleksandr Nevsky)

 

(영)Saint Alexander Nevsky. 본명은 Aleksandr Yaroslavich. 1220경 블라디미르 블라디미르(1263. 11. 14) 고로데츠. 1547년 러시아 정교회에서 성인으로 추증되었으며 축일은 11월 23일과 8월 30일. 노브고로트 공(1236~52), 키예프 공(1246~52), 블라디미르 대공(1252~63). 독일인과 스웨덴인의 동진을 저지했으나 몽골족이 러시아를 통치하는 데는 협력했다.

 

스웨덴 침략군을 이조라 강과 네바 강의 합류점에서 격파해(1240) '네바 강의'라는 뜻의 네프스키라는 이름을 얻었다. 러시아 군주들 가운데 가장 강력했던 블라디미르 대공 야로슬라프 2세 프세볼로도비치의 아들로 태어나 1236년 노브고로트의 공으로 선출되었으며(이 직책은 단순한 군사지휘관에 지나지 않았음) 1239년 폴로츠크 공의 딸과 결혼했다.

 

1240년 러시아가 바다에 접근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침공한 스웨덴군을 이조라 강과 네바 강의 합류점에서격파했다. 이 승리로 지위가 높아진 그는 노골적으로 시정(市政)에 개입하려 들다가 몇 달 후에 추방되었다.

 

발트 해 지역을 '그리스도교화'하라는 교황 그레고리우스 9세의 지시를 받은 튜튼 기사단(독일기사단)이 그 직후 러시아를 침공했을 때 노브고로트 시는 알렉산드르를 다시 불러들였다.

 

수차례의 전투 끝에 알렉산드르는 1242년 4월 추트스코예 호와 프스코프 호 사이의 좁은 수로에서 유명한 빙상의 살륙전'을 벌여 독일인을 결정적으로 물리쳤다. 스웨덴인과 독일인을 상대로 계속 싸움으로써 그들의 동진을 저지시킨 알렉산드르는 또한 이교도인 리투아니아족과 핀족을 상대로 많은 전승을 거두었다.

 

그러나 동방에서는 몽골군이 정치적으로 조각나 있는 러시아 영토 대부분을 정벌하는 중이었다. 알렉산드르의 아버지 야로슬라프 대공은 러시아의 새로운 통치자들을 섬기기로 동의했으나 1246년 9월 몽골의 대(大)칸을 방문하고 돌아온 후에 독살당했다.

 

뒤이어 대공위를 놓고 싸움이 벌어져 알렉산드르와 동생 안드레이가 몽골 킵차크 한국의 바투 칸에게 탄원을 내자 바투는 이들을 대(大)칸에게 보냈다. 대칸은 아시아의 장자상속 관습을 무시하고 안드레이를 블라디미르 대공으로, 그리고 알렉산드르를 키예프 공으로 임명했다.

 

이는 알렉산드르를 총애하는 바투가 대칸과 불편한 관계였기 때문이었던 것같다. 안드레이가 다른 러시아 제후들 서방 민족들과 함께 몽골 지배자들을 몰아낼 음모를 꾸미고 있을 때 알렉산드르는 볼가 강변의 사라이로 가서 바투의 아들 사르타크에게 자기 동생을 탄핵했으며 사르타크는 군대를 보내 안드레이를 폐위하고 알렉산드르를 대공으로 세웠다.

 

이 일이 있은 후에 북동부 러시아의 제후들은 100년이 지나도록 아무도 몽골의 지배에 도전하지 못했다. 알렉산드르는 요새와 교회를 건축하고 법령을 공포해 러시아를 복원시키고자 했다.

 

대공의 지위에 있으면서 그는 자기 아들 바실리를 통해 노브고로트를 계속 통치했으며 이렇게 해서 노브고로트의 통치체제를 초청에 의한 개인 통치체제에서 러시아의 최고군주에 의한 제도적 통치체제로 변화시켰다.

 

1255년 대공의 통치에 진력이 난 노브고로트가 바실리를 추방하고 몽골의 지배에 적대적인 인물을 군주로 초청하자 알렉산드르는 군대를 모아 자기 아들을 다시 복위시켰다. 1257년 몽골족은 세금 부과를 위해 러시아 대부분 지역에 대해 인구조사를 실시했다.

 

이에 대해 반대가 거의 없었으나 노브고로트에 그 소식이 전해지자 봉기가 일어났다. 1258년 알렉산드르는 노브고로트 반란 때문에 러시아 전체가 몽골족의 보복을 당할까 두려워해 인구조사와 과세에 복종하도록 노브고로트에 압력을 가하는 데 조력했다. 이 덕택에 몽골족은 북부 러시아에 통치의 고삐를 죄어가는 과정을 마무리지을 수 있었다.

 

1262년 킵차크 한국의 이슬람교도 세금징수청부인에 반발해 여러 성읍에서 봉기가 일어나자 알렉산드르는 몽골의 보복을 피하기 위해 4번째로 사라이에 갔다.

 

이 여행에서 그는 목적을 달성했으며 아울러 이란 침공계획에서 러시아인의 징집을 면제받는 데 성공했다. 본국으로 돌아와 알렉산드르는 1263년 11월 14일 볼가 강변의 고로데츠에서 죽었다.

 

그가 죽은 후 러시아는 또다시 여러 봉건적 소국으로 분할되었다. 제후·대귀족(보야르)·성직자의 지지와 아울러 러시아인의 몽골족에 대한 두려움에 기반을 두고 있었던 그의 개인적 권력은 연약한 아들들은 물론 어느 누구도 넘겨받을 수 없었다.

 

러시아 역사가들은 알렉산드르가 몽골족 정복자들과 관계하면서 매국행위를 한 것은 아닌가 하는 문제제기를 거의 하지 않는다. 실상 러시아의 일부 제후들은 국내 경쟁관계에서 이득을 보기 위해 수세기 동안이나 투르크 유목민들과 동맹을 맺어왔다.

 

알렉산드르는 자발적인 협력자였기 때문에 칸과의 관계에서 일반백성을 위해 중재하는 입장에 서서 그들의 고통을 덜어주었다고 볼 수도 있다. 그는 교회의 지지를 받았으며 교회는 몽골의 보호와 세금면제 혜택으로 번창을 누리면서 로마 교황청과 손잡은 반(反)몽골 제후들을 오히려 두려워했다.

 

이런 이유로 알렉산드르는 1381년에 지방 성인의 지위로 격상되었고 1547년 러시아 정교회에서 성인으로 추증되었다.

알렉산드르의 아들 다닐은 모스크바 가문을 창시했으며 이 가문은 이후 북부 러시아를 재통일해 1598년까지 통치했다.

 

알렉산드르는 당대의 위한 군사지도자의 한 사람으로, 스웨덴과 독일인의 침략에 맞서 러시아의 서부 국경을 지켰다. 그의 이런 이미지는 북서부 러시아에 널리 퍼져 있었고 뒤이은 수세기 동안 선전목적으로 숱하게 인용되었다.

 

그리하여 스웨덴과의 전쟁이 종결된 뒤 1725년 알렉산드르 네프스키 훈장이 제정되었고 제2차 세계대전중인 1942년 7월 독일이 소련 영토 깊숙이 침공해 들어왔을 때 스탈린은 알렉산드르 네프스키를 민족 영웅으로 선포하고 그의 이름을 딴 군사훈장을 제정했다

 

▲알렉산드르 네프스키 성당

 

▲알렉산드르 네프스키 성당

 

▲알렉산드르 네프스키 성당

 

▲알렉산드르 네프스키 성당

 

▲알렉산드르 네프스키 성당

 

▲알렉산드르 네프스키 성당

 

▲알렉산드르 네프스키 성당

 

▲알렉산드르 네프스키 성당

 

▲알렉산드르 네프스키 성당

 

▲알렉산드르 네프스키 성당 청동문

 

▲알렉산드르 네프스키 성당 청동문

 

▲알렉산드르 네프스키 성당 청동문

 

▲알렉산드르 네프스키 성당 청동문

 

▲알렉산드르 네프스키 성당 내부

 

▲알렉산드르 네프스키 성당 내부

 

▲알렉산드르 네프스키 성당 내부

 

▲알렉산드르 네프스키 성당 내부

 

▲알렉산드르 네프스키 성당 내부

 

▲알렉산드르 네프스키 성당

 

▲불가리아 정교회 문양

 

불가리아 정교회(Bulgarian orthodox church)

 

1204년에서 1393년까지 불가리아 교회는 독립된 주교좌를 갖고 있었지만, 터키인의 침략 이후 투르크제국이 멸망할 때(1393∼1856년)까지 콘스탄티노플 총대주교의 지배아래 있었다.

 

주교 힐라리온(Hilarion)이 교회의 독립을 선언했지만 (1860년), 콘스탄티노플 총대주교는 이를 민족주의적 이단이라 하여 반대했고 다시 총대주교 안티모스(Anthimos) 6세는 불가리아 정교회를 파문하였다. 그 뒤 모스크바 총대주교의 배려로 콘스탄티노플 총대주교가 파문을 풀면서 양교회의 관계는 정상적으로 회복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