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동유럽********국가들/⊙러시아*유럽지역

러시아ㅡ상트페테르부르크ㅡ니콜라이 1세 청동 기마상과 마트료시카

by 삼수갑산 2021. 10. 24.

상트페테르부르크ㅡ니콜라이 1세 청동 기마상과 마트료시카

니콜라이 1세(Nikolai I. 1796.7.6 ~ 1855.3.2)

 

러시아의 황제. 보수주의자로서 폴란드, 헝가리의 혁명을 진압하고 오스트리아와 연합하여 동유럽에 반혁명군을 견하기도 했다.국내에서도 그리스 정교 ·전제 ·민족성의 3원칙하에 철저한 반혁명의 입장을 고수했다. 크림전쟁(1853∼1856) 중에 사망하였다.

 

니콜라이 1세(Nikolai I. 1796.7.6 ~ 1855.3.2)

 

1825년 12월 즉위하자마자 수도에서 데카브리스트의 반란이 일어나, 그의 치세는 혁명세력의 진압과 함께 시작되었고, 유럽의 헌병으로서 보수주의 입장을 관철하였다.

 

1830∼1831년 폴란드의 반란을, 1848∼1849년 헝가리의 혁명을 진압하고, 오스트리아와 동맹하여 중유럽 ·동유럽에 반혁명군을 파견해서 러시아의 세력을 중앙아시아 등지로 확장시켰다.

 

국내에서는 그리스 정교 ·전제 ·민족성의 3원칙하에 철저한 반혁명의 입장을 고집하여 A.S.푸슈킨, M.Y.레르몬토프, 벨린스키, A.I.게르첸 등을 추방 또는 박해하였다. 크림전쟁(1853∼1856)을 일으켰으나 패색이 짙은 가운데 사망하였다.

 

▲니콜라이 1세(Nikolai I. 1796.7.6 ~ 1855.3.2)

 

▲니콜라이 1세(Nikolai I. 1796.7.6 ~ 1855.3.2)

 

▲에르미타쥬 박물관 뒷모습

 

▲로스트랄 등대 기둥

 

▲구 해군성(노란색 건물)

 

▲피터 앤 파울 요새

 

▲그리스도 부활성당(일명 피의 사원)

 

1881년 3월1일 오후에 알렉산드르 2세는 급진적 혁명운동 조직 ‘인민의 의지’ 당원이

던진 폭탄에 중상을 입고 피를 흘렸다. 곧 겨울궁전으로 옮겨졌으나 숨을 거두었다.

 

▲그리스도 부활성당(일명 피의 사원)

 

알렉산드르 3세는 알렉산드르 2세가 쓰러졌던 곳에 ‘피의 사원’을 지었다.

1883년에서 1907년까지 25년이나 걸렸다.

 

마트료시카 = 세계적으로 유명한 러시아 목각 인형

 

▲이름을 정확히 아는 사람은 드물지만 많은 사람들은 ‘마트료시카(Matryoshka)’를 보면 반가워한다.

처음 보는 사람들은 큰 인형 안에서 작은 인형이 나오고 또 그 속에서 더 작은 인형이 잇따라

나오는 것을 바라보며 신기해한다.

 

마트료시카는 어른도 호기심 반짝거리는 아이로 만드는 마법을 부린다.

 

▲러시아 전통 인형 마트료시카는 사실 ‘전통’이라는 수식어를 붙일 만큼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지는 않다. 

마트료시카의 시작은 1890년으로 거슬러간다.

 

말류틴의 디자인은 러시아의 뛰어난 공예가 바실리 츠비오츠도츠킨(Vassily Zviozdochkin)의 손에서

실제 인형으로 제작됐다.

엄마가 딸들을 품는 것처럼 큰 인형 속에 작은 인형, 그 속에 또 작은 인형들이 들어 있고

맨 마지막에는 강보에 싸인 아기 인형이 나오도록 만들었다.

여성으로 바뀐 이 목각 인형은 러시아에서 많이 쓰이는 여자 이름 ‘마트료나(Matryona)’에서 따온

‘마트료시카’라는 새 이름을 갖게 되었다.

영어의 ‘Mother’와 마찬가지로 이 ‘마트료나’도 ‘어머니’를 뜻하는 라틴어 ‘Mater’에서 유래했다.

 

당시 러시아에서는 장식미술가 칼 파베르제(Karl Faberge, 1846~1920)의 부활절 달걀 공예가 유명했다.

마트료시카는, 작은 달걀에 각종 세밀한 장식을 하는 달걀 공예에 친숙했던

러시아인들의 취향과 잘 맞아 떨어졌다.

인형을 품고 있는 모습이 알을 감싼 모습 같다고 해서 ‘마트료시카’란 이름 대신 ‘알을 품은 인형(Nesting Doll)’,

여러 개의 인형이 차곡차곡 쌓인다고 해서 ‘포개어 쌓는 인형’이라고도 불린다.

러시아에서는 친근함의 대명사 ‘할머니’를 뜻하는 ‘바부슈카(Babushka)’란 단어를 빌려

‘바부슈카 인형’이라고도 한다.

1900년 파리 만국박람회에 사바 마몬토프의 부인 M. A. 마몬토프가 최초의 마트료시카를

출품해 동메달을 수상했다. 이를 계기로 마트료시카는 세계적으로 널리 알려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