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동북 아시아****국가들/⊙중국****동북지방

지린성(吉林省)ㅡ연변조선족자치주ㅡ용정(龍井)ㅡ일송정(一松亭)

by 삼수갑산 2022. 1. 12.

연변조선족자치주ㅡ용정(龍井)ㅡ일송정(一松亭)

▲강경애(姜敬愛)

 

1907∼1943. 현대 여류소설가. 황해도 송화출신. 어릴 때 부친을 여읜 뒤 모친의 개가로 일곱살에 장연으로 이주하였다.

 1925년 형부의 도움으로 평양 숭의여학교에 입학하여 공부했으나 중퇴하고, 서울의 동덕여학교에 편입하여 약 1년간 

수학하였다. 이 무렵 문학적인 재질을 높이 평가한 양주동(梁柱東)과 동거했으나 곧 헤어졌다.

 

1932년에 장하일(張河一)과 결혼하고 간도에 가서 살면서 작품활동을 계속했다. 한때 조선일보 간도지국장을 역임하기도 했으나, 차츰 나빠진 건강으로 1942년 남편과 함께 간도에서 귀국하여 요양하던 중 죽었다.

 

1931년 《조선일보》에 단편소설 〈파금 破琴〉을, 그리고 같은해 장편소설 〈어머니와 딸〉을《혜성.(1931)과 《제일선(1932)에 발표하면서 문단에 데뷔하여, 단편소설 〈부자〉(1933)·〈채전 菜田〉(1933)·〈지하촌〉1936) 등과 장편소설 〈소금〉(1934)·〈인간문제〉(1934) 등으로 1930년대 문단에 독특한 위치를 확보한 작가이다.

 

어려운 살림살이와 병고, 그리고 중앙문단과 멀리 떨어져 있다는 불리한 여건에도 불구하고, 준열한 작가정신으로 식민지 한국의 빈궁문제를 작품화하는 데 힘썼다.

 

일련의 작품 가운데서도 특히 〈인간문제〉와 〈지하촌〉은 특이한 작가의 한 사람으로 지목하게 한 문제작이다. 전자는 사회의 최하층에 속해 있는 여인의 비극적 생애를 그린 것으로서, 후자는 극한적인 빈궁 속에서 사람의 삶이 얼마만큼 비참해질 수 있나 하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는 점에서 높이 평가되었다.

 

이렇듯 당시의 극한적인 빈궁상이라는 사회적 모순을, 특히 그 나름의 사실적 기법으로 상세히 묘사한 점에서 그의 작품세계는 누구도 넘보지 못할 1930년대 문학의 독특한 위치를 차지하는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그밖에 주요작품으로는 단편 〈축구전 蹴球戰〉(1933)·〈유무 有無〉(1934)·〈모자 母子〉(1935)·〈원고료이백원〉(1935)·〈해고 解雇〉(1935)·〈산남 山男〉(1936)·〈어둠〉(1937) 등이 있다.

 

강경애...... 일송정 오르는 길에 기념비가 있어서 자세히 보니 여성작가의 문학비이다...강경애... 강경애..... 무식해서 들어본적이 없다.... 일단 사진찍고.... 여행끝나고....네이버 검색해보니.... 이러한 분이시다.... 작품을 읽어보고 이분의 작품세계로 한발작 더 들어가보아야겠다....

 

▲비가 많이 왔습니다.... 우산쓰고 일송정 노래를 부르면서 천천히 올라가다 보니....

정상이 보이고 정자가 보입니다....

 

▲일송정(一松亭) 비석

 

▲용정시내와 해란강이 보입니다.... 이소나무가 일송정입니다...

 

민족의 강인함을 상징하는 일송정입니다..... 일송정 푸른솔은...... 노래로 시작하는 일송정 소나무입니다...전에는

능름한 자태의 소나무 한그루가 있었다고 하는데 지금은 작은 소나무 한그루 뿐입니다....

 

용정 사람들의 말을 빌리면 오래전 이곳에는 정자 모양의 소나무 한 그루가 있었다고 한다. 그리고 이 소나무 밑에서

독립운동가들이 모여 항일의 의지를 불태웠다고 한다...

 

이들을 미워한 일제가 소나무에 구멍을 뚫고 약품을 넣어 일송정을 고사시켰다고 전해진다...1980년대 후반 중국정부는

이곳에 일송정이란 정자를 지었다...

 

▲용정시내를 흐르는 해란강

 

▲넓은 들판을 흐르는 해란강.... 두만강 지류로 선구자에서 언급한 강입니다...

이 강이 선구자에 언급된 이유는 우리 민족이 황망한 간도땅에 자리잡고 산곳이 바로

해란강 주변의 들판이었고 이 들판의 젓줄이 해란강이기 때문일겁니다...

 

▲일송정 정자(一松亭.亭子)

 

선구자....

일송정 푸른솔은 늙어 늙어 갔어도....

한줄기 해란강은 천년 두고 흐른다....

지난 날 강가에서 말 달리던 선구자....

지금은 어느 곳에 거친 꿈이 깊었나....

 

용주사 우물가에 저녁종이 울릴때....

사나이 굳은 마음 길이 새겨 두었네....

조국을 찾겠노라 맹세하던 선구자....

지금은 어느곳에 거친 꿈이 깊었나....

 

작사 : 윤해영 작곡 : 조두남

 

▲일송정에서 내려오면서...

 

▲비암산(琵岩山) 비석

 

▲시내로 나오는 길... 옆으로 많은 무덤들이 있습니다...

무덤 형태가 우리나라것과 흡사합니다...

힘들던 조국을 피해....간도땅으로 들어와 척박한 땅을 일구면서

독립을 위해 일했던 많은 분들이 잠들어 있을거라는 생각이 들었다....

 

▲많은 무덤들 비석도 없으니 찾기가 쉽지않을것 같아...

 

▲도로가 옆에 세워진 일송정 표지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