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천주교 순교聖地ㅡ황새바위 순교성지(공주시 교동)
▲황새바위 성지
다른 지방과 마찬가지로 공주에서도 병인박해 당시에 가장 많은 순교자들이 나왔고, 조정의 박해령이 멎은 뒤에도 지방에서는 아직 그 여파가 남아서 피흘림이 계속되었다.
이렇게 공주는 순교 역사의 시초부터 기록상 마지막으로 순교자를 낸 1879년까지 100여년 동안 줄곧 피를 흘리며 신앙을 고백했던 참으로 거룩한 땅이다. 달레는 "공주 옥에서 순교한 이들의 이름과 숫자를 다 알 수 없었다." 고 말한다.
공주 감영록이 세상에 공개되기 전까지는 우리 순교자들의 이름을 알 수 없었다. 공주에서의 순교자들은 당시 '사학의 괴수'로 알려져 있던 내포의 사도 이존창(루도비꼬)과 10여명의 회장들을 비롯해 연령, 성별, 신분에 관계없이 무수히 많다.
가장 나이 어린 순교자는 김춘겸의 딸로 당시 불과 10살 밖에 안 되었고, 최연장자는 남상교(아우구스티노)로 당시 84세였다. 20세 미만의 순교자도 20명이나 되었으며, 양반, 중인, 농민, 노비 등 그 신분계층도 다양했다.
특히 어린이와 부녀자들까지도 온갖 고문과 회유, 공포속에서 배교하지 않고 순교로써 신앙을 굳게 지켰다.황새바위라는 명칭의 유래는 이곳 가까이에 황새들이 많이 서식했기 때문이라고 한다. 혹은 목에 큰 항쇄 칼을 쓴 죄수들이 이 언덕바위 앞으로 끌려나와 죽어갔기 때문에항쇄바위라 불리기도 했다.
▲찾아가는 길
▲황새바위 성지
2012년 봄부터 시작된 1차 종합개발의 일환으로 입구 초입에 있던 성지 사무실이 성당 왼쪽 언덕 위로 신축 이전하고 시원하게 확장되었다. 황새바위는 한국 천주교 역사 속에서 빼놓을 수 없는 역사적 증언지 중 하나로 그 의미가 크다.공주에는 일찍부터 충청남북도를 관할하는 관찰사와 지금의 시에 해당하는 감영이 있었다.
이곳 공주 감영에서는 각 지방에서 잡혀 숱한 심문과 무서운 고문을 당하고도 배교하기를 거절하였을 때에는 감사의 명에 의해 황새바위에서 사형이 집행되었는데, 충청도 각 지방뿐 아니라 타 지역으로부터 끌려와 이곳에서 최후를 맞이하는 교우들도 많았다.
충남의 홍주, 예산, 해미, 덕산, 신창, 홍산, 연산, 청양, 공주, 이인, 탄천과 충북의 청주, 진천, 연풍, 옥천, 전라도 전주, 광주, 경기도 죽산, 포천, 그리고 한양의 교우들이 공주에 와서 순교 하였다. 이곳 황새바위에서 천주학 죄인들을 공개 처형할 때에는 맞은편 산 위에서 흰옷을 입은 사람들이 마치 병풍을 친 모양으로 둘러서서 구경을 하였다고 한다.
처단한 죄인들의 머리는 나무위에 오랫동안 매달아 놓아 사람들에게 천주학을 경계하게 하였으며, 그들의 시체는 강도, 절도범들의 시체와 섞여 어느 것이 순교자의 것인지 구별하기조차 어려웠다. 황새바위 앞을 흐르는제민천은 지금처럼 둑이 쌓여 있기 전에는 지금보다 훨씬 넓었는데, 홍수로 범람할 때에는 순교자들의 피로 빨갛게 물들어 금강으로 흘렀다고 한다.
순교자들은 참수, 교수, 돌로 맞아 죽음, 옥사, 아사, 매질 등으로 죽어 갔는데, 교회사가 달레(Dallet,Claude Charles)는 공주 감영에서 있었던 교수형에 대해 "옥의 벽에는 위에서부터 한 자 높이 되는 곳에 구멍이 뚫려 있다. 매듭으로 된 밧줄 고리를 죄수 목에 씌우고 밧줄 끝을 벽의 구멍으로 내려보낸다.
그리고 옥 안에서 신호를 하면 밖에서 사형 집행인이 밧줄을 힘껏 잡아당긴다. 희생자가 죽으면 시체를 밖으로 끌어내어 장례도 지내지 않고 밭에 내버려 둔다." 고 묘사하고 있다. 때로는 구멍이 있는 형구돌이 사용되었는데 구멍에 줄을 넣고 죄수의 목에 얽어맨 다음 형구돌의 반대편에서 줄을 잡아 당겨 죽였다.
▲성지 올라가는 길
▲황새바위 성지 초입의 예수성심상
▲황새바위 성지입구 대형 돌문
▲황새바위 성지, 고개 숙여 들어간다
▲성지 성당
▲성당 입구 성모상
▲성당내부
▲성당내부 제대
▲성당내부 제대 감실
▲성당2층 성체조배실 감실
▲순교탑과 무덤경당
▲무덤경당
무덤 경당은 1983년 건립 당시 재원부족으로 설계와 달리 지었는데, 2012년 봄부터 시작된 1차 종합개발의 일
환으로 원 설계대로 보령 오석을 이용한 통돌쌓기 방식으로 새로 건립하여 2012년 10월 20일 축복식을 가졌다.
아직 내부는 다 꾸며지지 않은 상태이다.
▲무덤경당, 248 위 순교자 이름이 새겨져있는 돌 무덤 형태의 경당, 1983년에 지어진 경당
▲무덤경당 안 십자고상
▲248 위 순교자 이름
▲248 위 순교자 이름
▲248 위 순교자 이름
■ 순교자
◆ 복자 이국승 바오로 (1722∼1801년)
이국승 바오로는 충청도 음성의 양반 집안에서 태어나 충주로 이주해 살았다. 천주교 신앙에 대해 철저히 배우기 위해 경기도 양근 땅으로 권일신을 방문하여 교리를 배웠다. 1795년의 을묘박해 때 형벌을 받던 도중에 석방되었다.
잘못을 뉘우치고 더욱 열심하였다. 동정을 지키며 살기로 작정하였으나 부모들의 반대로
이를 피하기 위해 한양으로 이주하였다.
1801년의 신유박해 때 체포되어 포도청으로 압송하였다. 옥에 도달하였을 때, 황해도 출신의 고광성이 배교하고 옥문을 나서자 권면하였으며, 고광성은 여기에서 힘을 얻어 순교에 이르게 되었다. 1801년 7월 2일(음력 5월 22일)에 사형 판결을 받았다. 그런 다음 며칠 후 충청도 공주로 이송되어 순교하였으니, 당시 그의 나이는 30세였다.
◆ 순교자 이존창 루도비코(1752∼1801)
여사울은 내포의 사도라 불리는 이존창 루도비코가 태어난 곳이며, 그가 천주교를 받아들여 전교 활동을 펼친 곳이다.
이존창은 이단원(李端源)이라고도 하는데 진리의 빛을 따라 멀리 경기도 양근까지 찾아가
권일신으로부터 교리를 배우고 세례를 받았다.
1786년 가성직자 시절 이승훈이 주교가 되고 10인의 신부 중 이단원도 신부가 되어 2년간 성무를
집행하였다. 진산 사람 윤지충과 권상연의 신주 소각 사건으로 일어난 신해박해(1791년)때 공주 감영에 잡혀가
고문을 받으면서 목숨을 걸고 신앙을 지켰다. 취조관으로부터 경기도,충청도 지방에서 가장
개심시키기 어려운 자라는 말을 들을 정도였다.
그러나 계속된 모진 고문에 잠시 마음이 약해져 천주교를 멀리하겠다는 약속을 하고 풀려났으나 곧 후회하고 고향에 내려와 다시 열심히 전교하였다. 가족에게 환난이 올 것을 염려한 나머지 홍산으로 이주하였다. 주문모 신부가 입국하자 주 신부를 보좌하여 사목을 돕다가 다시 잡혀 결국 1801년에 공주 감영에서 순교했으니 당시 그의 나이는 50세였다.
■순교자 명단
▲조창원 작, 황새바위에서의 순교
▲창원 작, 황새바위에서 자매의 순교, 72.5 x 91.5cm, 2008년
▲조창원 작, 공주 황새바위의 자매 순교비, 72.5 x 91cm, 2008년
▲야외 성당
황새바위 성지의 야외성당은 2012년 봄부터 시작된 1차 종합개발의 일환으로 성지 정상에 대형 돌제대와
12개의 돌기둥, 광장을 조성하여 야외성당을 마련하고 2012년 10월 20일 축복식을 가졌다.
▲야외 성당 제대
▲야외 성당 제대
▲성모 상
▲순교탑과 성모동산
▲순교탑, 12개의 빛돌은 12사도를 상징
▲순교탑
▲옛 동헌 건물
무덤경당 뒷편에 있던 옛 동헌 건물이다. 천주교 박해와 시련의 산실이다.
수년 전 화재로 전소되어 현재는 터만 남아있다.
▲십자가의 길 1처
▲십자가의 길 2처
▲십자가의 길 3처
▲십자가의 길 4처
▲십자가의 길 5처
▲십자가의 길 6처
▲십자가의 길 7처
▲십자가의 길 8처
▲십자가의 길 9처
▲십자가의 길 10처
▲십자가의 길 11처
▲십자가의 길 12처
▲십자가의 길 13처
▲십자가의 길 14처
출처 / blog.daum / sunghwa
'▣新八道(신팔도)*紀行錄 > ⊙충남 대전****기행' 카테고리의 다른 글
충남 서산ㅡ한국 천주교 순교 聖地ㅡ해미 순교성지(교황청이 승인한 '국제 성지) (0) | 2021.08.31 |
---|---|
충남 서산ㅡ서산 마애 삼존불ㅡ햇살, 찰라의 미소 깨우다 (0) | 2021.08.31 |
충남서천ㅡ썰물과 일몰이 만든 흑백영화...세계가 인정한 "名作의 풍경" (0) | 2021.08.19 |
충남 논산ㅡ탑정호(塔亭湖)ㅡ600m 출렁다리..3Km 나무덱... (0) | 2021.07.22 |
충남 서산ㅡ佛國土 기행ㅡ백제의 미소속에 비친 고즈넉한 佛法의 흔적 되집다 (0) | 2021.07.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