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新八道(신팔도)*紀行錄/⊙서울 일원****기행

서울 종로ㅡ박정희부터 노무현까지 ‘권력 입김’ 광화문 현판을 어이할꼬

by 삼수갑산 2022. 8. 19.

박정희부터 노무현까지 ‘권력 입김’ 광화문 현판을 어이할꼬

▲서울 종로구에 위치한 광화문. 지금의 광화문은 2010년 복원한 것이다. (이광표)

 

▲광화문의 현판. 化자 오른쪽에 금이 가 있다. (이광표)

광화문 광장, 광화문 연가, 광화문 글판, 광화문 네거리…. 광화문은 단연 서울의 상징이고 대한민국의 상징이다. 광화문은 역사적이고 또한 낭만적이다. 올해 6월, 경복궁 광화문 현판에 금이 갔다. 검은색 化자 바로 오른쪽의 흰 바탕 위아래로 금이 간 것이다.

 

사진으로 찍어보면 갈라진 것이 눈에 확 들어온다. 2010년 복원된 이 현판은 복원 이후 석 달도 지나지 않아 금이 가 세상을 놀라게 했는데, 이번에 또다시 금이 갔다. 2010년 금이 갔을 때, 문화재청은 현판을 다시 만들기로 했고, 2022년 현재 제작 중이다.

광화문 현판에 또 금이 가자 문화재청은 “이미 수리한 부분에서 메움재가 탈락해 발생했으며, 기존의 메움재 등을 제거하고 수리하겠다”고 했다.

 

새로 만드는 현판에 대해선 “국립중앙박물관 및 스미소니언박물관 사진과 일본 와세다대 소장 경복궁 영건일기 등 광화문 현판 관련 자료를 통해 원형 고증을 실시했고, 전문가 자문을 거쳐 국가무형문화재가 참여해 현판을 다시 제작하고 있다”며 “현판의 각자(刻字)와 단청을 마무리했고, 현재 글자동판을 설계하는 단계다. 검은색 바탕의 금박 글자로 제작해 2023년 하반기에 마무리할 예정이다”라고 설명했다.

금이 간 현재의 광화문 현판(2010년 작)을 수리하는 것과 별개로 내년 말이면 광화문에 새로운 현판(2023년 작)이 걸린다. 2010년 버전이 갈라지고 또 갈라지면서 불과 10여 년 만에 퇴출될 운명에 처했으니, 이를 어떻게 받아들여야 할까. 그런데 그동안 금만 간 것이 아니다. 글씨를 한자로 할지 한글로 할지, 현판의 바탕과 글씨는 무슨 색깔로 할지를 놓고 끝없이 논란에 휩싸였다. 그 논란은 2005년 시작됐다.

 

◆광화문 수난사

 

경복궁 중건 공사는 1865~1868년 흥선대원군에 의해 진행됐다. 그 과정에서 정문인 광화문은 1866년 중건됐다. 일제강점기에 경복궁 흥례문(광화문 뒤쪽에 위치)을 헐어내고 조선총독부 청사를 짓던 일제는 1926~1927년 광화문이 총독부 건물의 시야를 가린다는 이유로 광화문을 해체해 경복궁 건춘문 북쪽(현재 국립민속박물관 정문 자리)으로 옮겼다. 6·25전쟁 때인 1951년엔 광화문 석축 위의 목조 누각이 폭격으로 부서졌고 이때 광화문 현판도 사라졌다.

1967~1968년 박정희 정권은 광화문을 제자리로 옮겨 복원했다. 당시 조선총독부 건물을 중앙청 건물로 쓰고 있을 때였다. 광화문을 중앙청의 정문으로 활용하고 동시에 서울 도심의 상징 건축물로 삼으려는 생각이었다. 그런데 광화문의 원래 자리에는 이미 대로가 들어선 상황. 그래서 광화문은 북쪽으로 11.2m, 동쪽으로 13.5m 밀려났다.

 

또한 건물의 방향도 경복궁 남북 중심축에서 3.75도 동향으로 뒤틀리게 배치했다. 중앙청 건물의 정문 역할을 하려면 중앙청 건물과 평행을 이뤄야 했다. 그런데 일제가 흥례문을 철거하고 조선총독부 건물(중앙청)을 지을 때 의도적으로 경복궁의 중심축에서 어긋나게 배치했다.

 

그래서 중앙청 건물과 평행으로 배치하다 보니 경복궁의 중심축과 어긋날 수밖에 없었다. 따라서 1968년 광화문은 엄밀히 말해 원위치 복원이 아니었다. 게다가 석축 위의 누각을 나무가 아니라 철근콘크리트 구조로 건립했으니 이래저래 반쪽짜리 복원에 그치고 말았다. 거기에 최고 권력자인 박정희 대통령의 한글 글씨 현판이 걸렸다.

 

세월이 흐르면서 콘크리트 광화문(겉으로 보면 목조 광화문으로 속아 넘어갈 정도였다)과 박정희 한글 현판은 서울 도심의 상징 풍경으로 굳건히 자리 잡았다. 1990년대 들어 경복궁 복원 사업이 시작됐다. 1993년 들어선 김영삼 정부는 ‘역사 바로 세우기’ 프로젝트를 가동하면서 경복궁 복원에 박차를 가했다. 이어 2006년부터 ‘광화문 제자리 찾기’ 사업이 시작됐다.

 

2005년 광화문 현판 소동과 오묘한 뒤끝

 

▲서울 종로구 국립고궁박물관에 전시된 인화문 현판.(이광표)

그런데 노무현 정부 시절이던 2005년 1월, 문화재청은 광복 60주년(2005년 8월 15일)에 맞춰 광화문 현판을 교체하겠다고 발표했다. 2006년 광화문 복원 공사를 시작하기로 돼 있는데, 그에 앞서 현판을 먼저 교체하겠다니, 뜬금없는 발표였다. 게다가 그때부터 작업을 시작해 약 7개월 만에 현판을 새로 만들어 달겠다는 것은 물리적으로 불가능했다.

 

그런데도 강행한다면 부실 제작으로 이어질 것이 불을 보듯 뻔했다. 곳곳에서 “박정희의 흔적을 지우려는 정치적 의도가 담겨 있는 것 아니냐”는 비판이 터져 나왔다. 당시 유홍준 문화재청장은 “정치적인 의도는 전혀 없다”고 했지만, 많은 이들은 그의 발표를 정치적이라고 받아들였다. 비판 여론이 비등했고 문화재위원회가 제동을 걸었다. 결국 그해 현판은 바뀌지 않았다.

2005년 벌어진 광화문 현판 소란. 누군가는 그저 하나의 해프닝 정도로 넘길지도 모른다. 하지만 그렇게 넘기기엔 그 뒤끝이 매우 오묘했다. 끝없이 이어질 논란의 전조라고 해야 할까.

광화문을 복원하려면 일단 기존의 콘크리트 구조물을 철거하고 석축도 해체해야 한다. 그 공사가 시작되기도 전인 2005년 광화문 현판이 먼저 사회 이슈로 부각됐다. 자연스럽게 현판을 둘러싼 논의가 활발해졌다. 현판을 대체 어떻게 만들지에 관한 논의였다.

 

경복궁 복원 공사의 일환이니 광화문 현판도 경복궁 중건 시점의 현판 글씨로 복원해야 한다는 의견이 힘을 얻었다. 중건 당시 광화문의 현판 글씨는 임태영(任泰瑛)이란 사람이 쓴 것으로 확인됐다. 1865년 경복궁 중건 당시 훈련대장이었던 임태영은 영건도감제조(營建都監提調)를 맡아 경복궁 공사를 책임진 인물이다.

6·25전쟁 때 현판이 불에 타 사라졌기에 임태영 글씨의 현판 모습을 확인할 수가 없었다. 그러던 차에 1902년, 1919년 촬영한 광화문 현판 사진의 원판이 일본 도쿄대와 국립중앙박물관에서 발견됐다. 임태영의 ‘광화문’ 글씨를 디지털로 확대 복원해 현판 제작에 활용하기로 했다. 2006년 12월, 기존 콘크리트 광화문을 철거하면서 복원 공사가 시작되었다. 2007년 1월엔 박정희 대통령 글씨의 한글 현판(1969년 버전)을 떼어냈다. 이것은 현재 국립고궁박물관에 있다.

임태영 글씨체로 현판을 복원한다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논란이 일었다. “왜 굳이 임태영 글씨여야 하느냐”는 반론이었다. 의견은 다양했다. “현재 우리 시대에 활동하는 현역 서예가의 글씨로 하자” “정조의 어필이나 한석봉, 김정희의 글씨를 집자(集字)해 현판을 만들자” “한자가 아니라 한글로 해야 한다. 훈민정음체나 조선시대 한글 목판활자체로 하자” 등등.

 

그러나 1865년 중건 당시의 현판 글씨로 복원한다는 대원칙을 뒤집을 수는 없었다. 그렇게 제작한 광화문 현판(2010년 버전)은 2010년 8월 15일 공개됐다. 경술국치 100주년이 되는 해의 광복절이었다. 국권 상실의 치욕을 잊지 않겠다는 의미를 담아 광화문 복원 및 현판 제막식을 연 것이다.

 

▲문화예술 분야 인사들이 구성한 ‘광화문 현판을 훈민정음체로’ 시민모임은 2020년 10월 8일 서울 종로구 광화문 광장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한자 현판 대신 훈민정음 해례본 한글 서체로 ‘광화문’ 현판을 만들어 새로 달자”고 제안했다. (동아DB)

 

부실 복원과 계속되는 논란

 

그런데 3개월도 지나지 않은 2010년 11월, 광화문 현판에 금이 갔다. ‘光’자 왼쪽을 가로질러 금이 갔다. 부실 복원이었다. 문제의 핵심은 현판용 목재를 충분히 건조하지 않은 탓이었다. 원래 12월 준공 예정이었는데 8월 15일 광복절 행사에 맞추려 공기를 단축하다 보니 이런 일이 일어났다. 문화재청은 2011년 4월 현판을 수리했고, 2013년까지 현판을 다시 만들어 교체하기로 결정했다. 그러자 수면 아래 가라앉았던 논란이 다시 고개를 들었다.

한자 현판이 아니라 한글 현판으로 해야 한다는 주장이 또다시 제기된 것이다. 한글 단체를 중심으로 한글 현판론이 강력하게 펼쳐졌다. 문화재 전문가들을 중심으로 한 반론도 만만치 않았다. 사실 2006년부터 2010년 사이에 이미 논의가 끝난 사안인데, 부실 복원으로 현판을 다시 만들어야 하는 상황이 발생하자 한글, 한자 논란이 다시 고개를 든 것이다. 논란을 불식하고자 여론조사, 공청회, 전문가 논의 등을 수차례 거쳤다. 2012년 12월 문화재위원회의 결론은 ‘중건 당시 임태영 글씨체 그대로’였다.

그런 과정을 거쳐 새로운 현판을 제작하기 시작했는데 이번엔 또 다른 문제가 불거졌다. 바탕과 글씨의 색상에 관한 논란이었다. 2010년 제작된 현판은 ‘흰색 바탕에 검은색 글씨’였다. 이것이 광화문 현판 원형(1866년 작)의 색상인지 의문이 제기된 것이다. 사실 이 의문은 복원 직후부터 제기되었다. 경복궁 등 궁궐의 전각이나 성곽 성문의 현판은 대부분 검은색 바탕에 흰색 또는 금색 글씨였다. 그렇기에 흰색 바탕에 검은색 글씨의 광화문 현판(2010년 작)이 무언가 어색했다.

문화재청은 새로운 현판(2023년 작)을 제작하기 시작한 2015~2016년 무렵까지도 ‘흰 바탕 검은 글씨’를 고집했다. 당시까지 확보한 유리원판 흑백사진으로는 한자 글씨체를 확인할 수 있어도 현판의 바탕과 글씨 색깔을 정확하게 판단하기 어려웠기 때문이다. 그러나 색깔에 관한 논의와 논란이 점점 확산되더니 급기야 검은색 바탕에 금색 글씨였음을 보여주는 자료들이 나타났다. 결국 2018년 말, 새 현판(2023년 작)은 검은색 바탕에 금색 글씨로 확정되었다.

 

광화문에 드리운 권력의 시선

 

광화문 현판 논란’은 문화재와 문화재 복원 등을 바라보는 관점과 철학, 복원 기준 시점과 복원 방법을 둘러싼 논의였다. 그런데 그 이면은 그리 단순하지 않다. 겉으로는 문화재 복원 논란이었지만, 실은 매우 정치적이고 이념적인 대립이 숨어 있었다.

그렇다면 광화문 현판은 왜 이렇게 20년 가까이 논란의 대상이 돼온 것일까. 그건 광화문이기 때문이다. 옛 궁궐 경복궁의 정문이면서 동시에 지금 대한민국의 상징 공간이기 때문이다. 그렇기에 그것을 기억하고 소비하는 데 사람들이 큰 관심을 갖는 것이고, 호시탐탐 권력과 정치가 개입하려는 것이다.

흥선대원군이 경복궁과 광화문을 중건한 것도, 조선총독부가 경복궁과 광화문을 훼철한 것도 권력과 정치가 개입한 결과였다. 1968년 12월 박정희 대통령이 광화문의 철근콘크리트 누각에 자신의 글씨로 현판을 만들어 건 것도 정치적이었다. 그런데 이듬해 박정희 대통령은 그것을 떼고 글씨를 다시 써서 새로운 현판을 걸었다.

 

1968년 현판의 한글 글씨가 마음에 들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한다. 그렇게 해서 1969년 글씨를 다시 써 현판을 달았고, 그것이 2007년까지 39년간 광화문에 걸려 있었다. 이는 광화문 현판에 대한 박정희 대통령의 관심이 지대했음을 의미한다. 박정희 대통령은 광화문의 현판을 자신의 정치적 이미지와 동일시했을 것이다. 그렇기에 자신의 ‘광, 화, 문’ 글씨 하나하나에 그토록 신경을 쓴 것이다.

광화문은 예나 지금이나 그 자체로 대한민국의 상징이니, 권력자들이 광화문 현판에 관심을 갖는 것은 너무나 당연한 일이다. 2005년 초, 불과 몇 달 동안 뚝딱해서 광화문 현판을 바꿔 달겠다는 발상을 내놓은 것도 그 자체가 정치적 욕망의 발로였다. 경술국치 100주년이 되던 해 광복절에 복원 기념식을 맞추려고 현판 제작 기간을 단축한 것도 정치적이었다. 그렇기에 광화문 현판의 상처가 깊고 그 후유증이 지금까지 이어지고 있다.

 

숨어 있는 복병, 기운생동 문제

 

논란, 고증, 소란을 거치다 보니 금이 간 현판을 다시 제작하는 작업은 계속 늦춰졌다. 결과적으로 금이 간 현판(2010년 작)이 광화문에 12년째 걸려 있다. 금 간 부위를 메우고 수리해 육안으로 볼 수는 없지만 그건 엄연히 금 간 현판이었고, 급기야 이번에 또다시 갈라지고 말았다. 2005년 시작된 광화문 현판 논란이 부실 복원과 맞물리면서 끝없이 소란을 일으키는 형국이다.

어쨌든 내년엔 새로운 현판(2023년 작)이 걸린다고 한다. 그렇다면 지금까지 17년 동안 이어져온 논란이 가라앉을 수 있을까. 일단 수면 아래로 가라앉을 것이다. 그러나 사소한 계기가 생겨도 또 논란이 불거질 가능성이 높다. 예를 들어, 금이 한 번 더 간다면 그때는 치명적이다. 자라 보고 놀란 가슴 솥뚜껑 보고 놀란다고, 또 무슨 일이 일어나지 않을까 조심스럽기만 하다.

특히 현판의 글씨를 한글로 할지, 한자로 할지를 두고 불거진 논란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21세기 한글론이 중건 당시 복원 원칙을 이길 수는 없다. 그러나 한글 현판론은 수시로 고개를 내밀 가능성이 적지 않다.

 

강병인 캘리그래퍼는 광화문 현판을 훈민정음체로 바꾸어 한다고 주장하는 사람이다. 그는 “한자로 된 현 글씨는 희미하고 윤곽도 없는 작은 사진에서 확대하고 상상으로 다듬은 글씨여서 원형의 가치가 없다. 서예가 요구하는 기운생동(氣韻生動)도 없다”고 주장한다.

여기서 기운생동이라는 말이 가슴을 뜨끔하게 한다. 실제로 지금의 글씨 즉 임태영의 서체엔 기운생동이 없어 보인다. 경복궁 중건 당시의 임태영 글씨(1866년 작)로 복원하는 것은 마땅한 일이다. 그럼에도 그 글씨에 기운생동이 부족하다는 점은 부인할 수 없는 사실이다.

요즘 국립고궁박물관에서 ‘궁중 현판-조선의 이상을 걸다’ 기획전이 열리고 있다. 광화문을 통과해 경복궁으로 들어가면 바로 왼편이 국립고궁박물관이다. 인화문(仁化門), 대안문(大安門) 등 궁궐의 정문에 달았던 현판도 이번 전시에 출품되었다. 이 현판들에 비하면 광화문에 걸린 지금의 금 간 현판(2010년 작)은 왜소하고 힘이 떨어진다.

 

명작인가 애물단지인가

 

이제, 이런 질문을 던지지 않을 수 없다. 광화문 현판은 과연 명작이 될 수 있는가. 늘 소란만 일으키는 애물단지로 기억되는 것은 아닌가. 논란과 수난의 과정이 먼 훗날 명작으로 대접받는 데 자양분 역할을 하는 경우도 있다. 하지만 광화문 현판에 대해선 뭐라고 해야 할지 아직 모르겠다. 냉정히 말하면, 지금은 애물단지다.

2005년 이후 20년 가까이 온갖 수모를 겪어온 광화문 현판. 내년에 검은 바탕에 금빛 글씨로 다시 걸리겠지만 임태영의 글씨체는 여전히 기운생동이 부족하다. 물론 현판의 바탕색과 글씨색이 바뀌면 그 분위기가 다소 바뀔 수도 있겠지만, 기운생동의 부족은 21세기 광화문 현판의 치명적 약점이 아닐 수 없다.

 

따라서 이러한 현실을 직시해야 한다. 그렇기에 다시는 꼬투리 잡히는 일이 없어야 한다. 다시 금이 가거나 부실 논란에 휩싸이면 많은 사람이 기운생동을 걸고넘어질 것이다. 그렇게 되면 어김없이 권력과 정치의 욕망이 끼어들 것이다. 광화문 현판은 명작인가, 애물단지인가. 좀 더 지켜봐야 할 것 같다.

 

글.사진 출처 / 신동아 8월호 / 이광표 서원대 휴머니티교양대학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