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천주교 聖地ㅡ왜고개 성지(국군중앙성당)
▲서울 왜고개 성지 (국군중앙성당)
1839년 기해박해 때 군문효수(軍門梟首)의 형을 받고 순교한 앵베르 주교와 모방, 샤스탕 신부 그리고 1886년 병인박해 때 서소문 밖 네거리에서 순교한 성 남종삼 요한, 성 최형 베드로 그리고 홍봉주 토마스 등이 얼마간 암매장되었던 곳이다.
현재 국군 중앙 성당이 자리하고 있는 이곳은 한자로는 와고개(瓦署峴)로 알려져있다. 원래 옛날부터 기와와 벽돌을 구워내던 와고개 또는 왜고개에서는 서울 명동 성당과 중림동 성당을 지을 때 사용했던 벽돌도 공급해 주었다고 전해진다.
한국 교회가 처음으로 맞이했던 사제인 중국인 주문모 신부가 1801년 신유박해때 순교한 후 조선 교회는 또다시 목자 없는 양 떼 신세가 됐다. 그후 30년 만인 1831년 조선 교구는 중국 북경 교구로부터 독립해 명실 공히 교회의 모습을 갖추게 된다.
이와 함께 1836년과 1837년 사이에 프랑스 파리 외방 전교회 소속 선교사인 모방·샤스탕 신부와 앵베르 주교가 입국한다. 이들 성직자들은 외인과 포졸들의 눈을 피해 상복 차림으로 변장하고 먹을 것도 여의치 못한 채 험한 산길을 걸어다니며 전국 각지의 신자들을 찾아 다녔다.
제한적인 활동을 해야 하는 어려움 속에서도 복음 전파에 힘쓴 결과 이들은 입국한 후 불과 1년 만에 신자가 9천여 명으로 늘어나는 성과를 얻는다. 방인 사제 양성을 의해 최양업, 최방제, 김대건 등 세 소년을 뽑아 마카오로 유학을 보내는 한편 정하상 등 네 명의 열심한 신자들에게 라틴어와 신학을 가르쳐 신부로 키우고자 했던 것이 모두 이 때의 일이다.
앵베르 주교는 지방을 돌아다니던 중 외국 선교사들의 입국이 알려져 교우들에 대한 탄압이 가열되자 수원에서 가까운 어느 교우집에 몸을 숨겼고, 여기서 그는 다른 두 신부에게 중국으로 피신할 것을 당부하지만 사정이 여의치 않아 단념하고 몸조심을 당부하고 임지로 돌려보낸다.
바로 이즈음 한 배교자로 인해 이들의 거처가 알려지고 포졸들이 들이닥친다. 앵베르 주교는 화가 여러 교우들에게 미칠 것을 염려하여 스스로 잡힌 몸이 되는 동시에 동료 신부들에게도 스스로 자수해 순교할 것을 권했다. 이리하여 1839년 기해박해가 시작되면서 세 명의 외국인 사제는 새남터에서 순교의 월계관을 쓰게 된다.
희광이들은 이들의 옷을 벗기고 겨드랑이 밑에 몽둥이를 끼워 처형 장소에 이르러서는 머리채를 모두 기둥에 매고 나서 목을 쳤다. 이 때 주교의 나이 43세, 모방 신부와 샤스탕 신부는 35세로 동갑이었다.
사흘 동안 한강변 모래톱에 버려져 있던 이들의 유해는 감시의 눈이 소홀해진 틈을 탄 몇몇 교우들에 의해 스무 날 가량이 지나서야 겨우 수습되기에 이른다. 세 성직자의 유해를 거둔 교우들은 시체를 큰 궤에 넣어 노고산에 일단 암매장한다.
그리고 4년 후, 당시 유해를 훔쳐 낸 교우들 중 하나인 박 바오로는 자신의 선산인 삼성산(三聖山)에 세 분 성직자의 시체를 다시 안장하고 이 사실을 아들 박순집에게 알려 준다.
박순집은 부친의 뜻을 따라 병인박해 때 새남터에서 순교한 성직자 및 다른 치명자의 시신을 바로 이곳, 왜고개에 안장한다. 시복을 앞둔 1924년에 무덤이 다시 발굴 되어 이들의 유해는 대부분 로마와 파리외방 전교회 등으로 분배되고 명동 성당에는 현재 그 일부만이 모셔져 있다.
▲찾아가는 길
▲왜고개 성지 (국군중앙성당)
▲왜고개 성지 (국군중앙성당)
▲예수성심상
▲왜고개 성지 (국군중앙성당)
▲성모자상
▲성전 오르는 계단
▲성당내부
군종교구 국군중앙주교좌본당(주임 손용환 신부)이 2008.4 성전 내부 보수공사를 마무리 했다. 1981년 건립해 낡고 어둡던 성당 내부는 따뜻하고 밝은 분위기로 바뀌었다. 성당 안에는 이곳에 묻혔던 성인과 순교자들이 하늘로 오르는 모습을 형상화한 유리화가 눈에 띈다. 햇빛이 비추는 방향에 따라 유리화 속 성인과 순교자가 차례로 밝아진다.
오전에는 최형(베드로, 1814~1866) 성인과 순교자 푸르티에(요한, 1830~1866) 신부 등이 빛을 내기 시작해 해질 무렵에는 성 김대건 신부와 성 베르뇌 주교가 밝게 빛난다. 국군중앙성당과 군종교구청이 있는 이곳은 서울의 성지 중에서도 비교적 덜 알려진 왜고개 성지로, 한국 최초의 사제 김대건(안드레아, 1822~1846) 신부 시신이 임시 매장된 곳으로 추정되는 곳이다.
또 제4대 조선교구장 베르네(시메온, 1814~1866) 주교와 남종삼(요한, 1817~1866), 우세영(알렉시오, 1845~1866), 프티니콜라(미카엘, 1828~1866) 신부 등 성인과 순교자 10명이 묻혔던 장소다. 성당 제대 중앙에는 흰색과 푸른빛의 유리화 네 점이 대칭을 이루고 있다. 푸른색은 하늘을 뜻하고, 열 개의 붉은 유리조각은 10명의 성인ㆍ순교자를 상징한다. 성당 천장은 팔각형 돔으로 돼 있는데 이곳에 묻혔던 8명의 성인 수와 우연히 일치한다.
▲제대 앞면 스테인드글라스
◆ 왜고개 암장과 박순집의 일곱 도적
박순집의 왜고개 암장 사실을 오기선 신부는 증인들의 증언을 토대로 다음과 같이 기술하고 있다.
"1866년 3월 7일 병인박해로 장 시메온 주교(張敬一), 유스토 마리아 백(白) 신부 그리고 루도비꼬 서(徐沒禮) 신부 세 분이 순교 후 군문효시하여 시체를 물샐 틈 없이 수직하는 통에 모래톱에 방치한 지 40일 후 즉 1866년 5월 28일에 무인(武人) 박순집 베드로는 다른 교우 여섯을 데리고 암암 칠야 지척을 분간할 수 없는 그 무시무시한 새남터 모래사장을 두 패로 나누어 암호를 정해 가지고 땅으로 두더쥐처럼 조금씩 조금씩 기어들어 가면서 한편에서 "예"하면 얼마 간격을 두고 어느 어두운 구석에서 "수"한다. 합치면 "예수"란 낱말이 된다.
그래서 자기 동지인 줄 알고 마음 놓아가며 세 순교자 시체 절도사건을 벌인 것이다. 장사이요 억척이던 박 베드로가 세 시체를 발견하였을 때에는 "예"와 "수"가 일초 간에 마주쳤으니 일행 거룩한 일곱 도적이 이 세 시체 앞에 모였다는 증거다. 박 베드로가 장 주교, 백 신부, 서 신부의 수염을 함께 합쳐 입에 물고(그러니 세목이 박 베드로 턱 아래 흔들거렸다)
두 시체는 양쪽 옆구리에 끼고 시체 하나는 업고 암암 칠야 극비밀의 어둠을 갈라가며 탈출했다.
이 왜고개라고 불리우는 와서(瓦署) 자리에 고이고이 암매장을 하고 동서남북으로 발로 걸음을 재고 사면에 암호 표식을 하고 구름과 같이 사라졌다. 그 일곱 분 중의 한분 김 요한(흥민, 興敏)의 계씨를 오기선 신부가 중림동(약현) 교회 보좌신부로 1933년 1월 10일 부임 당시 면담한 일이 있고 이 역사담을 들어 두었던 것이다.
그후 20여년이 흘러 민 주교님이 병인박해 때 순교한 성직자들의 시체 찾기 운동을 벌이고 계셨기 때문에1890년 인천으로 내려 간지 4년이 되던 해에 박 베드로를 유일한 고증인으로 불러 올렸다. 1894년 5월 22일에 박 베드로는 민 주교님을 위시하여 많은 성직자와 교우들과 이 왜고개로 갔다. 어느새 이 왜고개는 북망산처럼 수많은 무덤들이 즐비하게 누웠다.
동리 사람들이 몰려나와 남의 묘소를 마구 도굴하니 관가에 고소한다고 아우성을 쳤다. 그런데 청천백일에 느닷없이 먹장 같은 구름이 꽉 끼고 뇌성벽력으로 소나기가 빗발치듯하니 동리 사람들은 다 도망치고 말았다. 그 틈에 박 베드로가 28년 전 암호 표시했던 무덤을 파헤쳐 그전에 자기가 순교자 성명, 연월일을 먹으로 쓴 사기대접을 발견하게 되었다.
이 세 순교자의 유해가 발견됨과 동시에 다시 일기는 구름 한 점 없는 청천백일의 웃는 얼굴을 보여주는 듯 하였다고 직접 그 일을 같이 한 김 요한 흥민 할아버지는 신기한 듯 오기선 신부에게 일러주고 또 일러주었다. 박 베드로의 딸 박 사베리오 수녀도 똑같은 회고담을 이 왜고개에 대해서 들려 주셨다. 세분 순교자 유해를 용산 성직자 묘소에 임시로 모셨다가 1898년 5월 29일 명동 성당이 낙성된 후 그 지하실 순교자 유해 안치소로 민 주교님이 옮기셨다."
■ 순교자
◆ 성 범 라우렌시오 앵베르(Imbert, Lurent Marie Joseph) 주교(1796∼1839)
한국 이름은 범세형(范世亨), 조선교구 제2대 교구장이며 주교로는 처음 한국 땅을 밟았다. 조선교구 초대교구장인 소 브뤼기에르 주교가 입국도 못한 채 병사하자 제2대 조선교구장으로 임명되어 1837년 5월 주교품을 받았으며 같은 해 말 조선 입국에 성공하였다.
그의 입국으로 조선 교구는 그보다 앞서 입국한 나 모방, 정 샤스탕 두 신부와 더불어 교구 설정 6년, 교회 설립 53년 만에 비로소 선교 체제를 갖추었으며, 1839년 초 신자수는 9천 명을 넘게 되었다. 그는 또한 한국인 성직자 양성에도 뜻을 두어 정하상 등 네 명의 열심한 신자들을 뽑아 사제로 키우고자 하였으나 때마침 불어 닥친 박해로 뜻을 이루지는 못하였다.
1839년 기해박해가 일어났을 때 자신의 거처가 알려지게 되자 교우들에게 화가 미칠 것을 염려하여 스스로 포졸들에게 잡히는 몸이 되었다. 나, 정 두 신부에게도 인편으로 자수할 것을 권유하여 다같이 1839년 9월 21일 새남터에서 군문효수형을 받았다. 이 때 그의 나이는 43세였으며 조선에 입국한 지 불과 2년 만이었다.
◆ 성 나 베드로 모방(Maubant, Pierre Philibert) 신부(1804∼1839)
한국 이름은 나 백다록(羅伯多祿), 서양인으로는 최초로 조선에 입국하여 순교한 신부로 1836년 1월 입국하여서울 정하상의 집에 머물며 제2대 교구장인 범 주교를 도와 경기 충청 등 지방까지 선교하였다.
그는 한국인 성직자 양성에 마음을 두고 1836년 2월에 최양업을, 3월에는 최방제를, 7월에는 김대건을 서울로 불러 직접 라틴어를 가르치고 성직자가 되는 데 필요한 덕행을 쌓게 하다가, 때마침 귀국하는 중국인 유방제 신부와 함께 이들을 비밀리에 마카오로 유학 보냈다.
1839년 기해박해가 일어나고 성직자가 3명이나 입국한 사실이 당국에 알려지게 되자 범 주교에 이어 자수하였다. 1839년 9월, 홍주에서 정 샤스탕 신부와 함께 서울로 압송되어 모진 형벌을 받은 끝에 새남터에서 군문효수형으로 순교하였다. 그의 나이는 35세, 한국에 입국한 지 3년 9개월 만이었다.
◆ 성 정 야고보 샤스탕(Chastan, Jacques Honore) 신부(1803∼1839)
한국 이름은 정 아각백(鄭牙各伯), 두 번째로 조선에 입국한 서양인 선교사이다. 1827년 1월 파리외방전교회 사제가 된 정 신부는 1836년 12월 조선 입국에 성공하여 곧 한국말을 배우는 한편 나 신부와 함께 각 지방에 퍼져 있는 교우들을 찾아 성사를 거행하였다.
당시의 서양인 성직자들은 상제 옷으로 변장하고 험한 산길을 헤매야 했고, 소금에 절인 야채 따위로 주린 배를 채워야 했으며, 밤새도록 고해성사를 주고 미사를 드린 다음 날 새벽에는 또 다른 마을로 길을 재촉해야만 했다.
그들은 이러한 고난을 감수해 가며 오직 복음 전파에만 힘썼던 것이다. 1839년에 일어난 기해박해는 이 땅을 수많은 천주교인들의 피로 물들였고 정 신부도 범 주교, 나 신부와 함께 그 해 9월 새남터에서 순교의 월계관을 쓰게 되었다. 그의 나이는 35세, 이 땅에 들어온 지 2년 9개월 만이었다.
◆ 성 남종삼 요한(1817∼1866)
남종삼은 충청도 충주에서 태어나 심상교의 양자가 되었다. 1843년 문과에 급제하고 1846년 경상도 영해 군수가 된 남종삼은 항상 재물과 부녀자를 멀리하고 청백리로서 의덕과 겸손의 청빈한 생활을 하여 모든 이들에게 존경을 받았으나 동료 관리들에게는 시기와 경멸의 대상이 되기도 했다.
관직에 따르는 미신행위로 인해 한때 교회를 떠난 적도 있었으나 다시 교회로 돌아와서는 신앙생활에만 전념했다. 프랑스인 선교사들에게 한국어를 가르쳤고, 1863년 대원군의 명으로 정3품 승지가 되어 왕족 자제의 교육을 맡았다.
그러던 중 1866년 러시아인들이 국경을 넘어와 통상을 요구하자 조정에서 문제거리로 등장하게 되었는데 이때 남종삼은 홍봉주, 이유일등과 논의 하여 영불동맹을 맺어 러시아의 남하를 견제하자는 소위 방아책(防俄策)을 대원군에게 건의했다.
대원군과 장 베르뇌 주교와의 면담이 이루어지는 듯 했으나 척신들의 압력, 장 주교와의 연락 지연, 중국에서의 천주교 박해 소문 등으로 실패했을 뿐더러 태도가 돌변한 대원군에 의해 병인 대박해가 일어나게 되었다.
1866년 2월 고향인 제천에서 서울로 올라오던 남종삼은 중도에서 자신의 수배령이 내려졌다는 소식을 듣고 경기도 고양군 축베더리로 피신했으나 2월 25일 주교의 하인 이선이를 앞세운 포졸들에게 체포되었다. 그는 국청에서 6차의 국문을 받고 3월 7일 50세의 나이로 서소문 밖 형장에서 홍봉주와 함께 참수형을 당해 순교했다.
◆ 성 최형 베드로(1814∼1866)
일명 ‘치장’으로도 불리는 최형은 충청도 홍주에서 태어나 14세 때 부모의 권면으로 입교하였는데, 그의 가족은 모두 열심한 신자였다. 1836년 마카오 유학길에 올랐던 신학생들 가운데 병사한 최방제가 그의 동생이다. 큰누이는 평생 동정이었으며 형 최수는 병인박해 때에 절두산에서 참수되었다. 이렇게 독실한 교우 가정에서 자란 최형은 1836년 나 신부의 복사로 교회 일에 헌신하였다.
1839년 기해박해 때 체포되었다가 석방된 뒤 목수 일과 묵주 제작, 교회 서적 출판에 참여하였고, 장 주교가 입국한 뒤 교회 서적 출판의 책임자가 되어 큰 공로를 남겼다. 1866년 장 주교가 체포되면서 교회 서적들이 적발되자 전장운과 함께 체포되어 3월 9일 서소문 밖 형장에서 53세의 나이로 순교하였다.
▲십자가의 길 1처
▲십자가의 길 2처
▲십자가의 길 3처
▲십자가의 길 4처
▲십자가의 길 5처
▲십자가의 길 6처
▲십자가의 길 7처
▲십자가의 길 8처
▲십자가의 길 9처
▲십자가의 길 10처
▲십자가의 길 11처
▲십자가의 길 12처
▲십자가의 길 13처
▲십자가의 길 14처
출처 / blog.daum / sunghwa
'▣新八道(신팔도)*紀行錄 > ⊙서울 일원****기행'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울 중구ㅡ한국 천주교 순교聖地ㅡ서소문 밖 순교성지(조선왕조 최대의 순교 형장) (0) | 2021.08.22 |
---|---|
서울ㅡ6.25 전쟁 서울 수복후 서울 거리 풍경 (0) | 2021.08.20 |
서울 종로ㅡ北漢山ㅡ구기동에서 시작하여 북한산 사모바위 지나 三千寺까지.... (0) | 2021.07.25 |
서울 종로ㅡ북한산성ㅡ구기동에서 대남문을지나 대성문까지... (0) | 2021.07.25 |
서울 용산ㅡ한국 천주교 순교聖地ㅡ새남터 순교성지(성 김대건 신부를 비롯하여 성직자 11명 순교 성지) (0) | 2021.07.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