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新八道(신팔도)*紀行錄/⊙충남 대전****기행

충남 논산ㅡ한국의 절집 순례ㅡ반야산 관촉사(般若山 灌燭寺)

by 삼수갑산 2022. 10. 7.

한국의 절집 순례ㅡ반야산 관촉사(般若山 灌燭寺) 

 

▲관촉사 입구.

 

기억하기로 강경젓갈. 그리고 은진미륵. 논산 훈련소...등등이 있지만 그중에서도

최근에 국보로 승격된 불상이 있는 관촉사이다.국보 323호이다.

 

▲대한불교 조계종 제6교구 본사인 마곡사(麻谷寺)의 말사이다.

 

968년(광종 19)에 혜명(慧明)이 불사를 짓기 시작하여 1006년에 완공하였다. 전해지는 설화에 의하면 산에서 고사리를 캐던 여인이 아이의 울음소리를 듣고 그곳으로 가보니 아이는 없고 큰 바위에서 아이우는 소리가 들렸다고 한다.

 

나라에서는 그곳을 신성하다고 여겨 절을 짓게하였다고 전한다. 법당은 1386년(우왕 12)에 신축되어 건립하였으며, 1581년(선조 14) 백지(白只)가 1674년(현종 15)에는 지능(知能)이 중수(重修)하였다.

옛날 중국의 지안(智安)이라는 명승(名僧)이 이 절에 세워진 석조미륵보살입상(石造彌勒菩薩立像:은진미륵)을 보고 미간의 옥호에서 발생한 빛이  “마치 촛불을 보는 것같이 미륵이 빛난다” 하면서 예배하였다. 이런 연유로 관촉사라는 이름이 붙여졌다고 전해진다.

경내에는 석조미륵보살입상(국보 제323호)을 비롯하여 석등(石燈:보물 제232호)·사리탑(舍利塔)·연화배례석(蓮花拜禮石:충남유형문화재 제53호)·사적비(事蹟碑)·관음전(觀音殿)·삼성각(三聖閣)·사명각(四溟閣)·해탈문(解脫門)·현충각(顯忠閣)·기미독립운동기념비 등이 있다. 절 입구에는 1914년에 만든 반야교(般若橋)라는 현대식 구름다리도 있다

 

▲관촉사 일주문

 

▲천왕문(天王門)

 

▲좌측에 비석이 하나 있다

호가 우남인 초대 대통령인 이승만대통령 추모비이다.

 

▲왜 관촉사에 이비석이 있는가 의아해 해본다. 전쟁포로석방으로 혜택을 본 사람이 세운모양이다.

 

▲석조미륵보살입상(국보 제323호) 석등(石燈:보물 제232호)·

 

석등(石燈:보물 제232호)·

 

국보 제323호. 높이 18.2m. 거불로 예로부터 은진미륵(恩津彌勒)으로 널리 알려진 불상이다.이제는 국보가 되었다.1744년(영조 20)에 세워진 사적비(寺蹟碑)를 보아 광종연간(950~975)에승려 혜명이 조성한 불상임을 알 수 있다.

 

이 상의 특징은 우선 크기에서 느껴지는 위압감으로불상예배의 경외심을 돋우어주는 신앙적인 효과가 크다.이러한 위압감은 얼굴과 손이 신체의 다른 부분에 비해 크게 표현되어 있다 상의 크기에 비해 불신의 표현은 소홀하여 어깨가 좁고가슴이나 허리의 구분이 별로 없는 원통형이다.

 

높은 원통형의 관 (아마도 금속관이었을 것이나 지금은 없어짐) 위에다시 사각형의 이중 보개를 얹고 있는 것이라든지 연화가지를 들고 있는 수인(手印) 등은 도상면에서도 매우 특이한 요소이다.

 

보개는 중국의 상에서는 보이지 않는 요소로,아마도 상을 보호한다는 의미 또는 상의 위용을 강조하기 위한 의도로 제작된 것이 아닌가 한다.

 

이러한 독특한 모습의 보살상은 이후 고려에서 유행하여 비슷한 상이 여럿 조성되었는데,그중에 부여 대조사(大鳥寺)의 석조보살입상이 대표적이다. 백호를 수리할 때발견된 묵기(墨記)에 "正德十六年辛巳四月十五日"이라고 적혀 있어 조성시기의 파악에 참고가 된다.

 

천의(天衣)의 표현이나 옷주름도 매우 단순하다.이마 위에 늘어진 곱슬곱슬한 머리카락이나 두 귀의 가운데로 걸쳐 있는 보발(寶髮)의 표현,허리 밑으로 늘어진 앞치마처럼 생긴 둥근 옷자락의 표현 등은고려초 보살상들에서 공통적으로 보이는 특징들이다.

 

이러한 특징은 강릉 신복사지석조비로자나불상(神福寺址石造毘盧遮那佛像)이나연산의 개태사석조삼존불(開泰寺石造三尊佛)의 협시보살상과 같은고려 초기의 불상들에서도 볼 수 있는데,관촉사 불상은 보다 도식화된 면을 보여준다.

 

▲현시불인 지장불을 중앙으로하여 10대 대왕들이 자리하고 있다.

 

▲박정희. 육영수도 모셔두고 있고....

 

▲서산대사와 사명대사상을 모셔두고 있다.

 

▲주련이 한글이다.

너와 나의 만남과 헤어짐이 다 시절인연이리니......

 

▲석조미륵보살입상(국보 제323호). 석등(石燈:보물 제232호)

 

▲꽃잎무늬 창살이 참으로 아름답다

 

▲관촉사 석문(灌燭寺 石門)

 

관촉사는 고려 광종 19년(968) 혜명이 창건한 사찰로, 절내에 들어서려면 이 석문을 통과하여야 한다. 다른 사찰에서는 찾아볼 수 없는 특이한 형태의 문으로 일명 ‘해탈문’이라고도 부른다.

 

문은 네모난 돌기둥을 양쪽에 세운 후, 양 기둥 뒤쪽으로 길쭉한 돌을 5개씩 쌓아 옆면을 이루게 하였다. 기둥 위로는 네모지고 넓적한 돌을 얹어 놓아 전체적으로 4각의 모습을 하고 있다.

 

관촉사가 건립된 후 참배객이 몰려드는 것을 막기 위해 동·서·남·북 4곳에 이러한 문을 두었는데, 그중 동쪽에 세운 이 문만이 유일하게 남아 있다.석문을 세운 시기에 관한 정확한 기록은 없으나, 관촉사가 건립되었던 고려시대로 짐작된다.

 

▲윤장대(輪臺)

 

책장의 일종으로 불교에서는 경전을 넣은 책장을 돌리면 경전을 읽는 것과 같은 공덕을 쌓을 수 있다고 한다. 윤장 또는 전륜장(轉輪藏)·전륜경장(轉輪經藏)이라고도 한다.

 

중심에 기둥을 세우고 기둥에 의지하여 원형 또는 다각형의 나무장을 올린 뒤 여기에 경전을 넣고 손잡이로 돌릴 수 있도록 만든다. 경전은 경장뿐 아니라 율(律)과 논(論), 여러 고승들의 장소(章疏)도 함께 넣어 둔다.

 

관촉사 석문(灌燭寺 石門). 해탈문(解脫門)

 

출처 / naver.com / 묵당당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