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新八道(신팔도)*紀行錄/⊙전라 북도****기행

전북 김제ㅡ한국의 절집 순례ㅡ모악산 금산사(母岳山 金山寺)

by 삼수갑산 2021. 12. 16.

한국의 절집 순례ㅡ모악산 금산사(母岳山 金山寺)

金山寺(금산사)

 

전북 김제시 금산면 금산리 모악산에 있는 절. 대한불교조계종 제17교구 본사.

 

▲저 멀리 母岳山(모악산) 정상을 뒤돌아 보며,

 

금산사는 후백제의 견훤이 유폐되었던 절로 알려져 있으며, 원래는 백제시대에 지어지고 신라의 통일 이후혜공왕 때 진표율사에 의해 중창되면서 절의 기틀이 갖추어졌다고 한다.당시 신라 불교의 주류였던 교종 계통 법상종의 중심 사찰로 역할을 했는데, 법상종이 미륵신앙을 기반으로이루어진 종파라 이곳 절에는 석가모니불을 모신 대웅전이 없는 대신 미륵불을모신 미륵전이 절의 중심이다.

 

▲金山寺(금산사)로 가는 길은 "순례길"이란 이름으로 부르는 듯,

 

견훤은 후백제를 세우면서 스스로 세상을 구원할 미륵이라 자청하며 민중들의 민심을 얻고자 하지만 끝내는 그의 아들들에 의하여 미륵신앙의 요람인 이곳 금산사에 유폐되었으니 역사의 아이러니라 하겠다. 입구에서 매표소를 지나 홍예문 위로 반쯤 남아 있는 돌문을 지나게 되는데 견훤석성이다. 금산사는 건물의 수는 많지 않은 대신에 큰 건물들이 우람하게 서 있는 모습의 대가람이다.

절의 본당이라 할 수 있는 미륵전은 나무로 지어진 3층 건물로 각 층은, 대자보전, 용화지회, 미륵전이라는 현판이 붙어 있는데 모두 미륵불을 지칭하는 다른 표현들이다. 미륵전 안으로 들어가보면 밖에서 보는 것과는 달리 내부는 한 층으로 통해 있으며, 높이가 12m에 이르는 미륵입상이 서 있다. 원래는 진표율사가 절을 세울 때 철불로 미륵장륙상을 세웠다고 하나 임진왜란 때 왜군에 의해 절이 불타면서 철불은 없어졌다고 한다.

 

▲金山寺(금산사) 부근에는 아직도 이쁜 丹楓(단풍)이 남아 있었고,

 

미륵전과 대적광전 사이 마당에는 둘레가 10m가 넘는 거대한 받침대인 석련대가 있는데 위쪽에 만들어진 네모난 구멍이 옛날 미륵장륙상을 받쳤던 것이 아니었을까 추정하고 있다. 그 옆으로 다른 곳에서 쉽게 볼 수 없는 특별한 형태의 탑을 볼 수 있다.

 

바로 육각다층석탑인데 보통의 탑이 화강암으로 네모나게 쌓은 것과 달리 이곳의 탑은 점판암이라는 석재를 다듬어 화려하게 꾸민 형태이다. 미륵전 뒤로 올라가면 방등계단이라는 곳을 찾을 수 있는데, 양산 통도사 금강계단 등과 비슷한 형태이다.

 

▲모악산 금산사  일주문

 

▲천왕문(天王門)

 

▲금산사(金山寺) 선제루(善濟樓),

 

▲대적광전(大寂光殿)

 

▲국보 62호 미륵전(국보) 第62號 彌勒殿)

 

▲육각 다층석탑(보물 第27號 六角多層石塔)

 

▲금산사 당간지주(보물 28호)

 

금산사 석련대(보물 第23號 金山寺石蓮臺),

 

▲조사전(祖師殿)

 

▲삼성각(三聖閣)

 

▲羅漢殿(나한전)

▲금산사 오층석탑(보물 25호)

 

▲적멸보궁(寂滅寶宮)

 

▲미륵전(彌勒殿)

 

▲원통전(圓通殿)

 

▲대적광전(大寂光殿)

 

▲명부전(冥府殿)

 

▲대장전(大藏殿)

 

▲범종각(梵鐘閣)

 

▲金山寺(금산사) 境內(경내)에 있는 보리수 나무,

 

▲미륵전(彌勒殿)

 

▲금강문(金剛門)

 

▲개화문(開化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