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新八道(신팔도)*紀行錄/⊙경남 부산****기행

경남 밀양ㅡ한국의 절집 순례ㅡ재약산 표충사(載藥山 表忠寺)

by 삼수갑산 2021. 12. 14.

한국의 절집 순례ㅡ재약산 표충사(載藥山 表忠寺)

▲경남 밀양시 단장면 구천리

경남 밀양시 단장면 재약산(載藥山)에 있는 조선시대 승려 사명대사 유정 관련 사찰

 

대한불교조계종 제15교구 본사인 통도사(通度寺)의 말사이다. 임진왜란 때 승병(僧兵)을 일으켜 나라에 큰 공을 세운 사명대사(四溟大師)의 충훈(忠勳)을 추모하기 위하여 세운 표충사당(表忠祠堂)이 있는 절이다.

 

원래 이곳에는 원효(元曉)가 창건한 죽림사(竹林寺)를 신라 흥덕왕 때 황면(黃面)이 재건하여 영정사(靈井寺)로 개칭한 절이 있었다. 표충사라는 이름은 사명대사를 제향하는 사당을 당시 서원(書院)의 격(格)으로 표충서원(表忠書院)이라 편액하고 일반적으로 표충사로 불렀는데, 이 사당을 사찰에서 수호(守護)하여 왔으므로 사(祠)가 사(寺)로 바꾸어진 것이다.

 

 

 

원래의 표충사(表忠祠)는 밀양시 영축산에 있던 백하암(白霞庵) 자리에 있었으며, 사명대사의 제사를 모시기 위하여 나라에서 사원(祠院)을 세우고 봄·가을로 제사를 지냈다. 그 뒤 병자호란이 일어나 승려들이 흩어지고 폐허가 되었던 것을 1714년(숙종 40)에 밀양 군수 김창석(金昌錫)이 사명대사의 충훈을 알고 퇴폐된 것을 민망스럽게 여겨 지방유지와 승려를 불러 사우를 다시 세울 것을 의논하였다.

 

한편으로 관찰사 조태억(趙泰億)에게 보고하여 조정에 계(啓)를 올려 나라에서 제수(祭需)를 내릴 것을 청하였다.그리하여 사당을 다시 세워 사명대사와 그의 스승인 서산대사(西山大師), 임진왜란 때 금산(錦山)싸움에서 전사한 기허당(騎虛堂)의 영정을 모셨다. 그리고 한 전각을 사당 왼쪽에 지어 사명대사가 일본에 갈 때 가지고 간 원불(願佛)을 대구 용연사(龍淵寺)에서가져 와서 봉안하고, 동서쪽에 요사(寮舍)를 지어 수호하는 승려가 살 수 있도록 하였다.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131호인 대광전, 팔상전, 명부전, 경상남도 문화재자료 제142호인 만일루, 표충서원 등이 있다. 또한 국보 제75호인 청동 은입사 향완(香垸)은 1177년(명종 7)에 제작된 현존하는최고(最古)의 고려시대 향로이다.

 

이 밖에도 보물 제467호인 표충사 삼층석탑과 보물 제1944호 삼층석탑 출토 유물, 중요민속자료 제29호인 사명대사의 금란가사(錦襴袈裟)와 장삼(長衫),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14호인 표충사 석등,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15호인 표충사비,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268호 영정 및 탱화,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272호 표충사제영록책판(表忠寺題詠錄冊板),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293호 밀양표충사소장유품,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457호 목조삼존여래좌상,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458호표충사석조석가여래좌상 등이 있다.

 

▲재약산((載藥山)

 

▲사천왕문이 계단 위에 우뚝합니다.
사천왕문의 계단 아래에는 표충서원의 전각들이 자리하고 있습니다.
이곳 표충사(表忠祠)는 사찰의 표충사(表忠寺)와 임란에 공을 세운 서산대사와 사명당,

그리고 영규대사의 공적을 위로한 표충서원의 표충사(表忠祠)가 함께 자리하고 있습니다.

 

▲표충서원(表忠書院) 영역의 표충사(表忠祠)입니다.
표충서원(表忠書院)과 표충사(表忠祠), 유물관(遺物觀) 등이 자리하고 있습니다.

 

▲표충서원(表忠書院)

 

▲표충사(表忠祠)

 

▲유물관(遺物觀)

 

▲승탑군(僧塔群)

 

▲승탑군(僧塔群)

 

▲표충사(表忠寺) 사천왕문(四天王門)

 

▲표충사삼층석탑입니다.
재약산이 오후의 햇살을 곱게 받고 있습니다.

 

▲표충사 삼층석탑이 자리한 뜰 주변의 전각들입니다.

 

▲영각(影閣)

 

▲계단을 오르면 표충사의 큰법당인 대광전이 팔상전과 나란히 자리하고 있습니다.
대광전 앞으로 우화루와 범종루가 자리하고 있씁니다.

 

▲팔상전(八相殿)

 

▲대광전(大光殿)

 

▲대광전 우측

 

▲대광전(大光殿)

 

▲범종루(梵鐘樓)

 

▲관음전(觀音殿)

 

▲명부전(冥府殿)