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新八道(신팔도)*紀行錄/⊙충남 대전****기행

충남 부여ㅡ부소산성(扶蘇山城)ㅡ낙화암(落花巖)과 고란사(皐蘭寺)

by 삼수갑산 2022. 10. 7.

부소산성(扶蘇山城)ㅡ낙화암(落花巖)과 고란사(皐蘭寺)

기업체 수백개가 문을 닫아도 국가는 쉽게 망하지 않는다.국민이 주주인 주식회사 백제가 내부의 분열과 외세의 침략으로 침몰하고 만다. 서기660년에 백제는 낙화암에서 망하고 만 비운의 나라이다

 

국가가 망하니 근무자는 자동해고된것이다.해고된 근로자들은 망연자실했고 살아갈일이 막막한것이어찌 궁에서 근무한 여자들 뿐이겠냐마는.하루아침에 실업자로 전락한 궁녀들은 낙화암으로 향했다.

 

시차를 달리하여 사비성내에 포함될수도 있고뒷동산에 지나지않을수도 있는 부소산을그 부소산을 감싸고있는 백마강변으로 갔다.

 

낙화유수를....꽃잎이 떨어지는 모양이 落花라면 그 아래로 흐르는 流水는 백마강이다.충청남도 부여에서 그것도 부소산성에서 백화정이 있는 바위에서궁궐에서 근무한 삼천명이나 되는 공무원여자들이 落下한 현장이 낙화암(落花岩)이다

 

삼천명의 궁녀가 왕궁에서 근무할 정도로 번창한 백제는 왜 망하고 말았을까.물을 길어오는 무수리를 비롯하여 비자. 방자. 상궁등 3000명의국가공무원들이 낙화암으로간 이유를 아는 사람은 안다.이사진은 고란사 벽화이다.

 

이 산성은 백제의 수도인 사비(泗沘)를 수호하기 위하여 538년(성왕 16) 수도 천도를 전후한 시기에 축조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이보다 먼저 500년(동성왕 22)경 이미 산봉우리에 테뫼형 산성이 축조되었다가 천도할 시기를 전후하여 개축되었고, 605년(무왕 6)경에 현재의 규모로 확장, 완성된 것으로 추정된다.

 

부소산성은 금강의 남안에 있는 부소산의 산정을 중심으로 테뫼식 산성이 동서로 나뉘어 붙어 있고, 다시 그 주위에 포곡식(包谷式) 산성을 축조한 복합식 산성이다.

 

성내에는 사비루(泗沘樓)·영일루(迎日樓)·반월루(半月樓)·고란사(皐蘭寺)·낙화암(落花巖)과 사방의 문지(門址), 그리고 군창지(軍倉址) 등이 있다.

 

『삼국사기(三國史記)』 백제본기(百濟本紀)에는 ‘사비성(泗沘城)’·‘소부리성(所夫里城)’으로 기록되어 있으나 산성이 위치한 산의 이름을 따서 부소산성으로 불리고 있다.

 

▲부소산으로 입장하려면 이 문을 통과하여야 한다.

 

▲평상시에는 왕궁의 후원의 역활을 하였고 비상시에는방어의 거점으로 활용된 부소산성이라고 하니.즉........

부소산문이 있는 이 일대가 왕궁이었다는 이야기가 된다.

 

천천히 올라가본다.

 

▲낙화암으로 가는길에는 객들이 심심해 할까봐 남겨 놓았더라.

 

▲가다보니 연리지도 볼수 있다.

 

▲낙화암의 랜드마크인양 버티고 있는 백화정이다.백제가 멸망한 이후 1300년이후 부풍시사라는 시우회에서

건립한것이라 한다.백화정은 낙화암이라는 바위의 상단에 조성된 정자이다.

 

▲백화정에서 백마강을 바라본다.당나라 소정방이 이 강에서 백마를 미끼로 용을 낚았다고 해서 백마강이 아닌가.?

 

백제멸망이나 고구려의 멸망......한반도에서 세워진 모든 나라의 건국과 멸망의 역사는무능력한 정부의 우두머리와 관료들의 사리사욕이 한 몫을 한다.백제의 멸망에도 배신이라는 키워드가 나타난다.

 

대대로 나라를 운영하는데 참여한 가문이였던 예씨가문 성주가당나라의 회유로 백제왕을 당군대에게 넘겨줘서백제가 제대로 싸워보지도 못하고 나당연합군에 의하여 멸망 하였다고 한다.그 예씨가문 장군은 당으로 넘어가 호의호식하며 오를 수 있는최고 장군의 직위까지 올랐다고

 

중국 고서적 및 황실능의 비석에도기록 되어 있다는 것인데....나라마져 말아먹을 수 있는것이 배신이다.배신이 믿음보다 흔한 세상에 우리는 살고 있다. 진리에 가까운 말이다.자신도 믿지 못하는데 어찌 타인을 믿을 수 있겠는가.?

 

낙화암의 궁녀들은 누구를 믿었을까.계백.? 아니면 의자왕.? 안경낀 선생님이 학생들에게 도로 의문을 던진다.

 

▲낙화암의 끝부분이다. 안전휀스를 넘어 떨어지면 삼천궁녀같은 운명이 될 것이다.

 

▲백마강을 다시 한번 바라본다.보면서 생각은 엉뚱해진다. 누구는 삼천명의 여자들속에서 살았는데

나는 걸망을 메고 여자하나 없이 천리강산을 돌아 다니는가.?운명이다.

 

▲강 건너 저쪽에서도 나당 연합군이 진을 치고 있었겠지.......강위에는 척후선이 왔다 갔다 하고 ........

나름대로 전투상황을 전개해본다.

 

▲이 절벽아래에는 우암 송시열이 남겼다는 낙화암이라는 글씨가 있다하지만 볼수는 없었고....

사람들은 이야기 만들기를 좋아 한다소나무 한그루를 가지고도 소설을 쓴다.

 

▲내가 보기에는 천년수령은 아닐듯하다.

 

▲조룡대에 한 번 앉아 보리라는 마음에.고란사 방향으로 길을 잡아 간다.

 

▲낙화암과 고란사는 부여의 상징이다.낙화암은 백제의 흥망성쇠의 흔적이라면고란사는 고란초라는 약초로

인하여 낭만이 있는곳이다.고란사는 뒤로 돌아가는 길 밖에 없다.그래서 뒷길에서 고란사와 백마강은

이런모습으로 보인다.

 

▲절벽 밑으로는 황포돗대 가보이고....

 

▲고란사 법당앞에서 섰다.

 

▲기웃 기웃거려본다.

 

▲고란사 부처님.

 

▲고란사를 보게해주셔서 감사하다고 삼성각에서도 또 삼배하고.....

 

▲삼성각 안에서 바라본다. 백마강.

 

▲부소산 고란사의 고란정인데 어찌 물맛을 보지 않고 가겠나.

 

▲나도 한모금.

 

▲내눈에는 고란초가 보이지 않았다

 

▲충남 문화재자료 제98호인 고란사는 백제 말기에 창건된것으로 추정할뿐자세한 기록이 없다.

사찰의 이름은 암벽에 자라고 있는 고란초로부터 따온 이름이다.

 

▲고란사 현판글씨이다.

 

▲고란사법당의 벽화들이다

 

▲고란사법당의 벽화들이다

 

▲고란사법당의 벽화들이다

 

고란사로 가면서 조룡대의 이정표를 찾아 보았지만 없었다.관련 관청에 갑자기 불만이 생겼다.낙화암에서 고란사로 가는 길을 가면서 조룡대가 어디인지 이정표를 살폈지만조룡대라는 안내간판은 보이지 않았다는 것이다

 

소정방이라는 당나라 장수가 백마를 미끼로 용를 낚았다는 조룡대.........이것 때문에 다시 부소산으로 가봐야 할지도 모른다.아쉬웠다 보지도 앉지도 못하고 말았다.

 

◆조룡대 (釣龍臺)

 

전설은 약간씩 변형되어 전해진다.

 

충청남도(忠淸南道 부여군(扶餘郡) 부여읍(扶餘邑) 쌍북리(雙北里)의 백마강(白馬江)낙화암(落花岩) 근처 물 가운데 있는 큰 바위라고 한다..당나라 장군 소정방(蘇定方)이 백제를 칠 때, 마침 이곳으로 건너려고 하였다.

 

별안간 비바람이 세차게 불어오므로, 흰 말을 미끼로 하여, 이곳에서 용(龍)을 낚았다.지금 바위에 용이 할퀸 자국이 남아있다고 한다. <여지승람(輿地勝覽)> -

 

또 전설에 의하면,소정방(蘇定方)이 백제성(百濟城)을 공격할 때,운무(雲霧)가 자욱해서 강을 건너지 못했다.사람들이 의자왕(義慈王)은 밤에는 용으로 화하고, 낮에는 사람으로 변하는데,왕이 전시(戰時)라 사람으로 변하지 않고 있어서 그렇다고 했다.

 

그 말을 들은 소정방(蘇定方)은 백마(白馬)의 머리를 미끼로 삼아그 용을 낚아 올리자 운무(雲霧)가 걷혔다고 한다.그 때 용을 낚았던 바위라 해서 조룡대(釣龍臺)란 이름이 생겼고,강의 이름도 백마강으로 바뀌었다고 한다.

 

또...충청남도(忠淸南道 부여군(扶餘郡) 부여읍(扶餘邑) 쌍북리(雙北里)의백마강(白馬江) 가운데 있는 바위. 사람 하나가 겨우 앉을 만한 크기인데,중국 당나라 장수 소정방(蘇定方)이 백제의 도성을 함락시킨 뒤,어느날 대왕포(大王浦) 하류에 갑자기 태풍이 불어 바위나루(窺巖津)를 지나 낙화암(落花巖)까지 잇대어 있던수백 척의 당나라 병선이 순식간에 뒤엎어지고 말았다.소정방은 이 돌연한 괴변이 왜 일어났는지를 일관(日官)에게 물었다.

 

일관이 말하기를, 이것은 백제를 지켜온 강룡(江龍)이 화를 낸 것이라고 하였다.강룡을 퇴치할 방법을 소정방이 다시 물으니 일관은 용이 좋아하는 백마를 미끼로 하여 낚는것이 좋다하여소정방은 백마를 미끼로 강 가운데 바위 위에 앉아 용을

낚기로 하였다.

 

그러자 용은 미끼인 백마를 삼켜서 잡히게 되었다고 한다.이 일로 하여 뒷날 사람들이 소정방이 용을 낚았다고 하는 이 바위를 조룡대라 하고,백마를 미끼로 용을 낚은 강이라 하여 금강(錦江)의 줄기인 부여 부근 일대의 강을 백마강이라 하였다고 한다.

 

출처 / naver.com / 묵당당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