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중동 아시아*****국가들/⊙이란*******기행

이란ㅡ­호르무즈 해협ㅡ한국행 중동산 원유 99% 통과…4000년 전 문명 품은 폭 54㎞ 바다

by 삼수갑산 2022. 10. 19.

호르무즈 해협

한국행 중동산 원유 99% 통과…4000년 전 문명 품은 폭 54㎞ 바다.

세계 해상 석유 35% 수송… 이란이 봉쇄하면 유조선 못 다녀
마르코 폴로·이븐바투타 등 세계적 여행가가 들른 문명
교차로 17세기엔 영국의 무역 중개지, 美와 갈등 땐 최전선 될 화약고

 

▲이란 해군 병사들이 무장 쾌속정을 타고 유조선들이 지나고 있는 호르무즈 해협을 순찰하고 있다.

세계 해상 석유 수송량의 35%가 호르무즈 해협을 통과한다. /게티이미지코리아

 

호르무즈 해협은 페르시아만(혹은 걸프만)과 오만만 사이의 호리병같이 생긴 길목이다. 가장 짧은 너비가 54Km에 불과하다. 세계 석유 해상 수송량의 35%가 여기를 통과하며 한국행 중동산 원유의 99% 이상이 통과한다.

 

북쪽은 이란 영토에 속하고 남쪽은 아랍에미리트와 오만에 속하는데 대형 유조선은 수심이 깊은 북쪽 이란 해역을 통과해야 한다.

 

이란이 해협을 봉쇄하면 큰 유조선은 통행이 불가능해진다. 거대 유조선이 하루 평균 14척 통과하는데, 들어가는 배와 나가는 배가 수로를 잘 지켜야 한다. 한 척만 봉쇄되어도 수로가 엉키면서 마비된다.

 

근본적으로 미국과 이란의 전쟁도 해협 봉쇄 갈등으로 표출된다. 호르무즈 해협에서는 이란 항공기 격추, 이란-이라크 전쟁기의 유류 저장소 하르그섬 공격, 이란의 기뢰 부설과 미군의 봉쇄 같은 일이 터졌다.

 

유조선 통과의 국제적 안전은 보장되어 있으나 언제나 미국 등 서방 진영과 이란 혁명수비대가 첨예한 갈등을 벌이는 화약고다.

 

호르무즈 해협에서 감도는 전운은 석유 발견과 운송 이전 시대부터 늘 있었다. 고대 페르시아제국의 함대, 바그다드의 아바스 이슬람제국과 인도, 중국 상선이 드나들던 곳이다.

 

대항해 이래로는 포르투갈, 영국 등 제국의 함대가 진을 쳤고, 최근에는 이란·이라크 전쟁, 걸프만 전쟁 등으로 늘 전운을 안고 사는 운명이다. 문명의 교차로, 용광로 같은 모든 호칭이 걸맞다.

 

▲현재 이라크 바그다드를 거점으로 한 아바스 왕조(750~1258)의 무역선. . 이 무역선은 호르무즈 해협을 통해

인도양을 항해했다. 아랍의 유명한 이야기 모음집 ‘마카야트’(1237년 재작성)의 삽화.

 

호르무즈 해협에서 역사적으로 오만이 중요하다. ‘상인의 나라’ 신드바드 이야기가 바로 오만이다. 오만의 무스카트에서 프로펠러 비행기를 타면 역외 영토 무산담에 닿는다. 황량하기 그지없지만, 호르무즈 길목의 요충지다.

 

무산담 사구에서 보니 페르시아만을 빠져나온 유조선이 쉬지 않고 통과한다. 해협을 장악한 쪽이 페르시아만의 숨통을 쥐었다는 전략적 가치는 예나 지금이나 장기 지속이다. 전운이 감도는 곳이라지만, 생각보다 훨씬 평화로운 풍경이다.

 

호르무즈 해협에 호르무즈섬이 떠 있다. 이란 최남단 해상 거점인 반다르아바스에서 뱃길로 20여 분이면 닿는다. 지금은 황량한 바람이 부는 사막에 무너진 성터만 남아 있을 뿐이다.

 

작은 포구가 있고 먼지 날리는 자동차가 메마른 들판을 지나간다. 산과 산에 의지하여 가파른 도로가 이어지고 낭떠러지 아래로 푸른 해협이 펼쳐진다. 아라비아 세계에서 인도로 넘어가기 전에 반드시 들른 중간 길목이다.

 

역대 세계적인 여행가는 대부분 호르무즈를 들렸다. 중요한 교통 거점이었다는 증거다. 마르코 폴로와 이븐바투타가 대표적이다. 마르코 폴로는 이 섬 주민이 세례를 받은 기독교도이고, 대주교가 있다고 했다.

 

바그다드에 위치한 이른바 이단 기독교 네스토리우스 교구의 사람들이다. 이븐바투타는 아랍어, 페르시아어, 영어, 힌두어가 들리는 곳이라고 했다. 수도사 오드릭도 호르무즈에 당도했다. 당대 여행가가 모두 거쳤음은 그만큼 문명의 교차로였다는 뜻이다.

 

호르무즈섬에 1300년 이후 튀르키예의 노예인 아야즈가 왕국을 세웠다. 훌륭한 시장이 있고 인도의 중개항이기 때문에 인도산 도자기가 그곳에서 이라크, 페르시아, 호라산으로 수출됐다. 원나라 사람으로 세계를 여행하고 기록을 남긴 왕대연의 ‘도이지략’에서는 호르무즈를 감매리(甘埋里)라 불렀다.

 

중국의 자기와 비단 등이 들어왔고, 온갖 향료가 실려 나갔다. 해양 거점이었기 때문에 15세기 초 정화 원정대의 중요 목적지도 자연히 호르무즈가 됐다. 정화함대 기록관 마환은 ‘영애승람’에 ‘호르무즈 사람은 모두 부유했다. 가난한 집이 없었다’고 기록했다.

 

호르무즈 외에도 반드시 부기해야 할 섬 몇몇이 더 있다. 페르시아만 북서 해안에 이란 영토의 작은 섬 하르그가 있는데, 오늘날 이란의 원유 98%를 취급하는 터미널을 갖추고 있다.

 

그 섬에서 4000년 전 이란의 엘람 문명과 페르시아 아케메네스에서 사산왕조에 이르는 문명이 발굴되었다. 고대 아시리아와 엘람 문명의 흔적인 키시섬도 주목된다. 일찍이 알렉산드로스 대왕이 그 전략적 가치를 주목한 섬이다.

 

요르단 사막의 무역 도시 페트라에서 교역하던 나바테안의 신전과 무덤도 키시섬에서 확인된다. 사막 대상이라고만 알려진 나바테안이 호르무즈 해협을 무대로 해상 무역도 했다는 놀라운 발굴이다.

 

16세기 초반 포르투갈의 작가 두아르테 바르보자는 호르무즈를 방문하고 상세 기록을 ‘동양개요’에 남겼다. 포르투갈 약재상 토메 피레스는 이곳을 ‘이란과 중국으로 갈 수 있는 열쇠’라고 했다. 17세기 영국의 시인 밀턴은 ‘실낙원’에서 호르무즈의 부를 언급했다. 그만큼 유럽 사회까지 호르무즈의 풍요로움이 알려졌다는 증거다.

 

유럽의 출현으로 호르무즈의 영화는 끝났다. 포르투갈의 군인 알부케르크가 1506년 호르무즈에 들어와 왕을 위협했다. 호르무즈는 참패했다. 1622년에는 영국이 개입하며 이란에 병합되었으며, 영국의 페르시아만 무역 중개지가 됐다.

 

밀턴이 화려한 도시로 묘사했던 호르무즈는 그의 작품명처럼 실낙원으로 전락하고 말았다. 석유 발명과 유조선의 출현은 호르무즈 해협을 언제 전쟁이 벌어져도 이상할 것이 없는 화약고로 만들었다.

 

21세기까지 열강들이 호르무즈 해협에 막강한 영향력을 미치는 중이다. 삭막한 사막 앞으로 푸른 페르시아만이 놓여 있고, 대추야자 대신에 유조선이 지나간다. 이 ‘기름의 바닷길’ 연장선의 극동 끝자락에 우리나라가 있다. 호르무즈 해협에 전운이 돌면 즉각 우리에게도 그 파장이 몰려온다.

 

글.사진출처 / chosun.com / [주강현의 해협문명사] 주강현 해양문명사가·전 제주대 석좌교수